카테고리 없음

우리섬 독도를 소개합니다

말글 2008. 7. 30. 10:54

우리의 섬 독도를 소개합니다...

 

대한민국 울릉군 을릉읍 독도리 산1-37번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화산활동에 의하여 생성된 독도는 하나의 섬이 아니라 2개의 큰 섬인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 부속 도서로 구성 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87.453㎡에 달합니다.
독도는 북위 37˚14´26.8˝, 동경 131˚52´10.4˝(동도 삼각점 기준)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동단의 섬으로 행정구역상 대한민국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37번지(37필지)입니다.


○ 동 도

동남쪽에 위치한 동도는 유인등대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해양수산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섬입니다.
동도는 높이 98.6m, 둘레 2.8㎞, 면적 73.297㎡로 장축은 북북동 방향으로 약 450m에 걸쳐 경사 60°로 뻗어있고, 중앙부는 원형상태로 해수면까지 꺼진 수직홀이 특징입니다.

○ 서 도

서북쪽에 위치한 서도는 높이 168.5m, 둘레 2.6㎞, 면적 88.639㎡ 장축은 남북방향으로 약 450m, 동서방향으로 약300m 가량 뻗어있습니다.
서도는 전체적으로 험준한 원추형의 발달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사면경사가 심하여 정상부분의 접근이 곤란한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 기타

동도와 서도를 제외한 부속도서들의 총면적은 25.517㎡ 이며, 동도와 서도간의 해협은 폭 151m, 수심10m 미만입니다

 

역사속의 우리독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512년 6월 (신라 22대 지증왕 13년)지금의 울릉도를 본도(本島)로 하고 독도로 인정되는 우산도(于山島)를 작은 섬으로 하는 우산국(于山國)이 라는 하나의 독립국(獨立國)이 있었다.
2) 신라 22대 지증왕은 아슬라주(阿瑟羅州) 군주(君主)로 이찬 벼슬에 있던 이사부를 시켜 우산국을 정복케 하였다.
3) 이사부는 나무로 만든 목우사자(木偶獅子)라는 무기를 써서 우산국을 정복한 뒤 6월에신라에 귀속시켰다.
4) 그 뒤 우산국은 신라에 매년 토산물을 바쳤다.
1) 930년 (고려 태조 13년) 고려 태조13년 우릉도(지금의 울릉도)에서 사절로 백길,토두 두사람을 보내어 조정에 공물을 바쳤다. 이때 고려 조정에서 백길에게는 정위, 토두에게는 정조라는 벼슬을 내렸다. 이 때가 고려 태조 왕건이 길창(지금의 안동) 전투에서 후백제 견훤을 무찌른 해이다.
2) 1018년 (고려8대 현종 9년) (우산국이) 동여진의 침략을 받아 항복하였으나 곧 조정에서 이완구를 시켜 피난민을 우산국으로 돌려보내고 농기구와 이물품을 전달
3) 1022년 (고려8대 현종 13년) 동여진의 침입으로 살기가 힘들어진 백성들을 예주에 살도록 했다.
4) 1132년 (고려 17대 인종 10년) 울릉도 독도에서 → 조정에 공물을 바침
5) 1132년 (고려 17대 인종 10년) 우산국대신 → 우릉(于陵 또는 羽陵)이란 이름으로 바뀌고 우산국주(宇山國國)대 신 우릉성주로(于陵城主)로 바뀜. 이는 우릉도와 우산도(독도)로 구성된 우산국이 완전히 중앙정부의 직할아래 들어갔음을 의미함.
6) 1141년(고려 17대 인종 19년) 강원도인 명주도 감창사(溟州道 嵌倉使) 이양실이 울릉도에 사람을 보내 본토에서 볼 수 없는 진귀한 과실과 나뭇잎을 채취하여 조정에 바쳤다.
7) 1157년 (고려 의종 11년) 명주도 전중내급사 김유림 파견 → 섬의 중앙 꼭대기 (지금의 성인봉)에서 동으로 1만여보, 서로 1만3천여보, 남으로 1만 5천여보, 북쪽으로 8천여보에 달하고, 마을 7군데 등 보고.
8) 1197년 (고려 명종 27년) 동쪽지역으로 이주시켜 농사짓게 했으나 풍파가 심하여 다시 서쪽으로 이주.
9) 1242년 (고려 고종 29년) 실력자 최이에 의하여→울릉도 이민 사업 실시 → 풍랑등으로 시민사업 실패거듭
1) 1416년 (태종 16년)울릉도에는 사람이 살지 못하도록 비워두는 - 공도 정책 발표
2) 1417년 (태종 17년) 삼척사람 김인우를 우산무릉등처안무사로 임명 → 울릉도 파견 → 15호 86가주민이 있음을 발견 → 3명만 안무사에게 설득되어 육지로 옮김→여기서 우릉도를 공도정책으로 사람이 살지 못하도록 한 이유중에 주목할 점은 "강원도에서 무릉도까지 풍랑 속의 머나먼 뱃길로 수장될 위험을 무릅쓰고 이곳 무릉도에 와서 사람이 살게 된데 는 고려말 나라의 부패와 정권의 불안정으로 가혹한 세금과 부역을 피하여 이 곳으로 왔기 때문이란 점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1425년 (세종 7년) 태종 뒤를 이은 세종도 공도정책계승 → 김인우를 역시 "우산무릉등처안무사"로 파견. 여기서 "우산무릉등처"란 섬이 우산도와 무릉도등 2개가 있다는 표현이 분명함.
4) 1438년 (세종 20년)
울진 사람의 남회와 조민을 무릉도순찰경차관으로 파견
남녀 66명을 수색하여 본토 송환 → 본국 모배죄
주모자 김안 → 교수형, 나머지는 노복으로 삼음.
5) 1441 (세종 23년) 만호 남호에게 울릉도 수색지시 → 70여명 송환 , 공도정책 계속 이후 → 울릉도 독도에는 사람이 아무도 살지 않았던지 육지와 몇년동안 소식이 두절됨 → 그 후 새 섬이 있다는 설이 나돔.
6) 요도/신도설 그리하여 공도가 된 후 사람들이 항해 중 울릉도(무릉도), 독도(우산도)를 보았을 것이다. 그래서 새로 생긴 섬이란 신도설, 요도설이 떠돌았다. 조정에서 신도/요도를 확인하려 했다. 그 확인 기록이 바로 세종실록 지리지에 실려있다고 보면 된다.
7) 세종실록 지리지 강원도 울진 현조에 → 우산과 무릉의 두섬이 울진현 바다 한가운데 있는데 두섬의 거리가 멀지 않아 맑은 날에는 바라볼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8) 삼봉도 세종 뒤를 이은 성종 때도 해안주민들 사이에 강원도 경내에 속하는 동해 한 가운데에 삼봉도가 있다. 부역이나 세금을 피해 도망간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소문이 조정에까지 들어갔다.
9) 삼봉도 수색 조정에서 파견된 강차관 박종원이 삼봉도에 다녀왔다는 김환경과 함께 삼봉도 수색했으나 실패 → 삼봉도는 독도이다.
10) 성종실록 김자주의 삼봉도(독도) 묘사 기록 - 25일에 섬서쪽 7∼8리 남짓한 거리에 정박하고 바라보니 섬북쪽에 세바위가 나란히 섰고 그 다음은 작은 섬이 있고 다음은 암석이 나란히 섰으며 다음은 중도이고 중도 서쪽에도 작은 섬이 있는데 그 모두가 바닷물과 통한다. 바다와 섬사이는 인형 같은 것이 별도로 30여개가 서있는데 의심나고 두려워 그 섬에 접할 수가 없어 도형을 그려 돌아왔다.
11) 1531년 (중종 26년)「신증동국여지승람」의 45권 울진현군에 → 우산도와 울릉도 두 섬은 울진현 정동에 있다. (우산도) 세봉우리가 하늘로 곧게 솟았으며 남쪽봉우리가 약간 낮다. 날씨가 맑으면(울릉도에서) 세봉우리가 위의 나무와 산밑의 모래톱이 역력히 보이고 바람이 잦아지면 이틀에 도착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독도에 관한 기록이 있다는 사실은「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입증하는 확고한 증거가 되기 때문에 무척 중요하다. → 신라 지증왕 13년이래 → 세종실록 지리지 → 고려사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르기까지 독도가 한국영토임을 일관되게 나타내고 있음은 독도가 우리영토임을 분명히 한 것이 틀림없음.
12) 1693년 (숙종 19년)
대마도주가 동래부로 서계 보내옴 → 조선 어민의 죽도 출어금지 요청
조정에서 →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하는 회신
영의정 남구만 → 형세조사차 삼척첨사를 울릉도에 파견
13) 1693년 (숙종 19년) 안용복, 박어둔 등 40여명의 조선어부는 울릉도, 독도에서 조업중인 일본 어선 발견 → 추방을 위한 격투 (독도 사수 - 안용복 장군편 참조)
일본의 도쿠카와 막부는 대마도주로 하여금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하는 동시에 불법월경을 스스로 금지시키겠다는 서계를 보내었다.
일본 도쿠카와 막부는 울릉도와 독도를 두고 "두섬은 조선의 영토"라는 서계를 휘하의 관백과 태수에게 쓰게 했을 만큼 독도의 조선 영유권 존중.
조정은 울릉도 수토제도를 채택하고 3년에 한번씩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에 관원을 보내 순검케하여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주권은 변함없이 행사함.
14) 1697년 2월 (숙종25년)「신증동국여지승람권 45여지고 일본 막부 → 독도는 조선영토임을 공식인정
15) 1699년 (숙종 25년) 안용복 장군은 일본 에도 막부(정부)로부터 울릉도. 독도가 조선 땅임을 인정하는 증서를 받음
16) 1900년 10월 25일 (고종 37년) 칙령 제 4호 울릉도는 울도로 개칭하고, 강원도는 울진현에 속해있던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를 묶어서 하나의 독립군으로 설치하면서 군청관할 구역을 울릉전도와 죽도 및 석도라고 못박았다. 여기서 죽도는 울릉도 섬목앞의 실제 죽도이고, 석도는 → 석 즉 돌 → 독도를 의미한다. [독도의 독은 홀로 (독)이라고 하고 돌 (독)이라고도 한다.]
17) 1904년 8월 23일 (고종 41년) 조일 의정서에 의거 → 독도에 → 일본 해군 부대 설치
18) 1905년 5월 17일 (고종 49년) 일본 정부 → 독도를 죽도라 변칭하고 시네마현 토지대장에 기재하고 일방적으로 일본 영토에 합병 선언
19)

1905년 11월 17일 (고종 49년) 을사보호조약 체결로 조선국권 상실

 

선박명
출항지 울릉 독도
독도운항 비고
(소요시간)
한겨레호
(出:묵호)
10:00 → 12:20  
  14:00 → 15:10
  16:50 ← 15:40
20:20 ← 18:00  
매월 둘째주 금요일 독도운항
(사업계획 의거 운항시간 변경가능)
묵호→울릉: 02:20
울릉→독도: 01:10
썬플라워호
(出:포항)
10:00 → 13:00  
  14:00 → 15:20
  17:00 ← 15:40
21:00 ← 18:00  
매월 첫째주 토요일 독도운항
(사업계획 의거 운항시간 변경가능)
포항→울릉: 03:00
울릉→독도: 01:20
삼봉호
(出:울릉)
  07:30 → 09:50
  12:50 ← 10:30
매일운항 울릉→독도: 02:20
  14:30 → 16:50
  10:00 → 13:00
씨플라워1호
(出:후호)
  10:00 → 13:00
부정기로 운항 후포→울릉: 03:00
울릉→독도: 01:40
09:00 → 10:40  
  13:00 ← 11:20
18:00 ← 15:00  
※ 겨울철에는 기상악화등으로 여객선 운항이 자주 변경되므로 꼭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7월말에서 8월중순까지 여름성수기에는 1일 2회 왕복으로 운행횟수가 증편됩니다
 
 
항로별 등급별 포항-울릉 후포-울릉 묵호-울릉
썬플라워 씨플라워 씨플라워 한겨레호 씨플라워
출항 입항 출항 입항 출/입항 출/입항 출/입항
우등 일반 56,200 54,700 53,000 51,500 46,000 46,600 46,600
만2~12세 28,150 27,400 26,600 25,800 23,000 23,300 23,300
장애인(1~3급) 28,900 27,400 27,300 25,800 23,000 23,300 23,300
만65세이상 45,300 43,800 42,700 41,200 37,000 37,300 37,300
1등 일반 51,100 49,600 48,300 46,800 42,000 42,500 42,500
중,고등학생 46,200 44,700 43,700 42,200 37,800 38,300 38,300
만2~12세 25,550 24,800 24,200 23,400 21,000 21,300 21,300
상이7급 장애인
(1~3급)
26,300 24,800 24,900 23,400 21,000 21,300 21,300
만65세이상 장애인
(4~7급)
41,200 39,700 39,000 37,500 33,600 34,000 34,000
울릉주민 일반요금 39,700 38,950 38,300 37,500 33,000 33,400 33,400
도서민할인 5,750 5,750 5,750 5,750 4,400 4,400 4,400
울릉주민중
만2~12세
일반요금 25,150 24,800 23,800 23,400 21,000 21,300 21,300
도서민할인 3,450 3,450 3,450 3,450 2,800 2,800 2,800
울릉주민중
1~3급 장애우
일반요금 25,600 24,800 24,900 23,400 21,000 21,300 21,300
도서민할인 3,850 3,850 3,850 3,850 2,800 2,800 2,800
울릉주민중
만65세이상
일반요금 25,600 24,800 24,900 23,400 21,000 21,300 21,300
도서민할인 3,850 3,850 3,850 3,850 2,800 2,800 2,800
단체할인요금 일반단체(20명이상) 46,200 44,700 43,700 42,200 37,800 38,300 38,300
중,고등학생(20명이상) 41,200 39,700 39,000 37,500 34,000 34,000 34,000
※ 여객선이용시 유의사항
1. 기상변화에 따라 운행시간이 조정될 수 있으니 출발전 반드시 문의
2. 연휴나 여름성수기에는 1일 2회 왕복으로 운항횟수가 증편되기도 함
3. 연휴나 여름성수기(7-8월)에는 배표가 자주 매진됨으로 사전에 예약하여야 함
4. 차량 및 화물승선은 포항에서만 가능하며, 8:30분까지 승선절차를 완료해야함.

 

 

 

 

 

<자료 - 사이버독도 지킴이 'Dokdo.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