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보도자료

4대강살리기 사업, 16개 보 첫공개’

말글 2009. 10. 27. 09:48

‘4대강살리기 사업, 16개 보 첫공개’

 

첨부파일 16개 보 공개(홍보기획팀).hwp

 

- 백제 계백장군, 물시계, 수레바퀴토기 등 디자인 지역상징성 가미

- 생태어도 설치, 물놀이 친수공간, 소수력 에너지 생산시설 등 설계 포함

- 야간조명, 전망타워 등 설치해 지역 명소 ‘랜드마크’로 관광 활성화 기대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본부장 심명필)는 27일 전국 4대강 유역에 설치될 보를 국민들에게 처음 공개한다.

 

이날 공개되는 16개 보 디자인은 턴키1차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된 대림, 현대, GS, SK, 대우, 삼성물산, 포스코, 두산, 현대산업개발, 삼성중공업, 한양건설 등 11개 건설업체가 제시한 것으로, 11개 업체가 직접 보 건설에 참여할 예정이다. 제출된 보 설계는 향후 실시설계 과정에서 조형미를 보다 향상시키고, 기술적인 문제 등은 수리모형실험 등 검토 절차를 통해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4대강에 설치될 16개 보는 주변 경관과 인근 지역의 지리․역사․문화적 특색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물놀이 시설과 생태공원 등 지역주민들이 찾을 수 있는 쾌적한 수변공간을 조성해 다목적 기능을 갖춘 보로 설치될 계획이다.

 

 

금강 부여보는 백마강을 지키기 위해 돌아온 계백장군이 말을 탄 모습을 형상화 했으며, 낙동강 강정보는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이라는 지역특성을 반영해 가야금과 수레바퀴토기 등 문화적 상징성을 모티브로 해 디자인했다. 또 나주쌀을 형상화한 영산강 승촌보, 멸종위기의 국내 유일 2마리의 따오기를 희망심볼로 도입한 낙동강 합천보, 세종대왕의 한글 독창성과 측우기 과학성 등을 가미한 금강 금남보 등 단순 구조물이 아닌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었다.

 

보에는 또한 지역주민들의 자전거 접근이 가능한 공도교가 설치되고, 전망타워 등이 마련되어 이용객들의 편의시설로 활용될 예정이다. 야간조명 시설도 설치되고 각양각색의 보 디자인을 통해 보가 지역 관광활성화에 기여하는 랜드마크로서 역할이 기대되며, 주변 생태공원 활용 등으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보 주변에는 다양한 어종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자연형 어도를 설치해 생태계 단절 문제를 해소하고, 여울 및 하중도(河中島)를 설치해 이동어류의 휴식공간도 제공하는 등 친환경성을 고려했다. 또 어도 관찰실을 두거나 공도교를 활용해 생태학습의 장으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4대강에 설치될 보는 가동보가 설치되어 있어 보 상류의 퇴적물 배출이 용이하게 설계되었으며 유수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개선을 도모하여 수질악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 특히 보에는 저수로 양단에 소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2억7,848만㎾h의 청정에너지 생산으로 47만 배럴의 유류대체 및 15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지니고 있어 친환경녹색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보를 국민들에게 선보이고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위해 온라인 보 품평회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벤트는 10월28일부터 11월6일까지 4대강살리기 홈페이지(www.4rivers.go.kr)를 통해서 진행되며, 투표를 통해 16개 보 가운데 우수디자인 보를 선정하고 추첨을 통해 다양한 경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 관계자는 “4대강에 설치될 보는 디자인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뿐만 아니라, 친환경 어도와 생태공원 등 환경적 요소 또한 고려되었다”면서 “보 설치를 통해서 인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관광명소 역할까지 기대 된다”고 말했다.

 

한강3공구 이포보

 

○컨셉

이포보의 디자인 개념은 4대강 살리기 비젼인 “생명이 깨어나는 강, 새로운 대한민국”을 모티브로 주민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강, 생명을 품어 되살아나는 한강, 하늘의 뜻을 품고 비상하는 미래의 한강을 의미하는 여주의 군조인 백로를 형상화하여 디자인 하였습니다. 또한 보(洑) 시설물은 하천을 단절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물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구성을 했습니다.

 

○제원

보는 전체 연장이 591m로서 가동보 295m, 고정보 296m이며 가동보 형식은 쉘형 롤러게이트를 적용하였으며 under flow와 over flow가능하고 under flow시에는 저층수 배제로 양호한 수질유지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포보 설계에서는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가동보 폭 15m, 높이 2m를 폭 45m, 높이 3m로 확대하여 홍수시 통수기능을 증가시켜 치수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관을 수려하게 계획하여 디자인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시설

이포보 상부에 설치되는 공도교는 하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경간장과 유지관리를 위한 최소폭 기준을 고려하여 상부구조는 가동보구간을 일체식 I형빔교의 경간장 49.5m, 고정보구간은 PSC박스교의 경간장 71m로 계획하여 공도교폭 7m, 연장 744m, 설계하중 DB 24로 계획하여 설계기준을 만족하면서 유지관리가 탁월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포보 좌안에 설치된 소수력 발전소는 전체 발전용량을 3,000Kw로 계획하여 년간 총생산전력14,532Mwh가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계획하였으며, 이포보 우안에는 국내에서 가장 완만한 1:300의 자연형 어도를 계획하여 상하류의 수생태 보전을 고려한 친환경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한강 4공구 여주보

 

○컨셉

여주는 남한강, 여주평야 등 배산임수의 자연과 유네스코 지정문화재인 세종대왕릉이 입지한 선조들의 지혜와 문화가 깃든 풍요로운 도시로, 여주보는 생명이 살아넘치는 자연과 세종대왕릉의 문화가 공존하는 조화로움을 지향하였습니다. 설계컨셉은 “세종여주보, 시대의 문을 연 세종대왕의 위대한 정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다...”입니다.

세종대왕의 과학발명품인 앙부일구 해시계의 형상을 반영한 인공섬(세종광장)을 조성하고, 엘리베이터 설치를 통해 자전거와 노약자의 하부공원 이용성을 증진시켰습니다.

물을 조율하는 가동보는 세종대왕의 또 다른 과학발명품인 자격루 물시계의 형상을 재해석하여 빛이 차오르는 자격루의 기둥탑을 상부 인양봉에 디자인하여 야간조명을 특화하였으며, 하부 보기둥은 자격루의 장식재이자 물을 관장하는 신물인 용의 형상을 시각화하였습니다.

 

○제원

하천폭 1㎞(저수로 480m, 고수부지 520m) 중 보의 연장은 480m(공도교는 1㎞)로 저수로 구간을 전면가동보로 계획하였으며, 유압식 롤러수문 12련(11@36×2, 1@36×3)을 설치하여 과도한 상부 돌출구조를 배제하여 열린 스카이라인을 확보하였습니다. 평상시 및 홍수시에 기본계획시 제시된 Roller Gate형식(가동보 309m, 고정보 685m)과 같은 형식을 채택하였으나, 가동보 구간이 확장(480m)됨으로써 홍수시 전면 수문개방으로 홍수소통에 유리하고, 유심부 전구간을 가동보화하여 고정보가 기진 수질악화와 퇴적토사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하천폭 1㎞ 전체구간에 설치하되, 고수부지 구간은 경관미가 뛰어난 PCT 거더 형식을, 가동보 구간은 내구성이 우수한 프리텐션 거더교를 적용하였습니다. 공도교의 폭원은 유지관리용 크레인 운영과 자전거 및 탐방객 편의를 고려하여 전 구간 7.5m를 적용하였으며, 설계하중은 DB-18로 계획하였습니다.소수력발전소는 지형조건, 지질조건, 시공성, 유지관리측면에서 유리한 보의 좌안부에 설치하였으며, 구조형식은 반지하화로 계획하고 발전소내에 전기 및 기계설비를 배치하였습니다. 어도는 아이스하버형 어도와 자연수로형 어도를 각각 보의 좌안부 및 ․우안부 고수부지 구간에 도입하여 다양한 어종의 소상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한강 6공구 강천보

 

○컨셉

강천보는 천혜의 자연환경,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지역의 상징 여주8경과 여주군의 군조인 백로의 비상하는 모습, 지역고유이미지와 문화적 상징성인 황포돛배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웅장함과 고전의 현대적 이미지, 남한강물에 비춰지는 또 다른 세상이란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하였으며, “물빛누리 강천보” 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제원

보의 연장은 50m 경간장 7련의 440m로 가동보 구간은 350m, 고정보구간은 90m로 구성되었으며, 가동보 형식은 수위조절 및 수문작동시 배사기능이 가능하고 상부구조물이 없어 경관성이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수문의 문비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수문조작에 의한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라이징섹터게이트 형식을 선정하였다.

또한, 라이징섹터게이트는 평상시 수위조절에 의한 관리수위 유지 및 하부 방류에 의한 저층수 배제로 수질오염방지가 용이하고 100년빈도 계획홍수량을 배제할 수 있는 통수능력을 확보하여 제방 월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시공성, 안정성, 공기준수 및 경관성을 기준으로 개방감이 우수한 복합트러스의 교량형식으로 총연장 485m와 폭 10m의 DB-24 설계하중을 적용하였으며, 우기시 공사가 가능한 ILM공법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수력발전소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신재생에너지 창출과 상하류 생태연결을 위한 자연형 어도라는 친환경 요소를 지니고 있다.

 

 

 

 

 

금강 1공구 금남보

 

○컨셉

금남보는 도시명칭국민공모를 시행하여 결정된 「세종시」의 상징성 부여하고 한국의 문화, 예술, 과학의 우수성과 금강의 흐르는 물결을 표현하여 세종시 이미지에 맞는 랜드마크성을 강화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세종대왕의 한글의 독창성과 측우기의 과학성, 연기군의 상징인 제비와 금강 물결의 패턴을 상징하는 구조로서 금강의 흐르는 물결에 의하여 그 위를 흐르는 물의 흐름으로 또 하나의 생동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디자인하여 문화와 자연이 어우러지도록 표현하였다.

 

○제원

보의 연장은 총연장이 360m(가동보:180m, 고정보:180m), 관리수위 EL.11.8m이고 가동보 형식은 개량형 전도식 가동보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자유로운 수위조절 : 원하는 수위로 조절 가능하여 정밀한 수위조절 및 담수량 확보 가능

- 하류수위 또는 퇴적토사에 의해 도복 또는 기립 불가능 우려 적음

- 내구성 우수

- 철판바닥부 전구간으로 저층수를 배출하여 수질오염 저감유리

 

○주요시설

소수력발전소는 발전시설용량 990kW(330kW×3대)의 소수력발전소 설치로 연간 발전량 7,260MWh의 발전이 가능하며 어도는 자연수로형 어도로 및 여울4개소 설치하여 상하류 생태연속성 확보하였고, 어도 전용 가동보 계획으로 다양한 어종 소상 유도하였다.

 

 

금강6공구 부여보

 

○컨셉

금강 살리기 6공구 청남지구 사업은 설계 Concept으로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는 친환경적 백마강(금강) 살리기’를 하였으며, 그 메인 테마로써 ‘백제의 향기가 유유히 흐르는 백마강(금강) 백향유수(百香流水)’ 를 설정하였다. 또한, 슬로건으로는 ‘부활하는 역사의 강, 생명의 강 백마강 살리기’ 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와 연관된 역사적 사건을 재해석하여 백마강으로 가는 사비천도(성왕 16년에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수도 이전)를 스토리텔링을 통해, 백마강을 통해 천도하는 것으로 구성했으며, 『 백마강을 지키기 위해 돌아온 계백장군 계백위환(階伯衛還)을 부여보의 가동보(수문) 테마로 말을 타고 백마강을 바라보는 계백장군을 형상화하여 부여보가 이루는 치수ㆍ이수 개념을 수문장이미지로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제원

보의 연장은 620m(가동보 120m , 고정보 500m)이며 가동보는 월류형 2단 쉘게이트형식으로 평상시 관리수위 유지와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월류 및 하단방류를 만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동보는 평상시 및 홍수시 기본계획에 제시된 롤러게이트형식(가동보 115m, 고정보 505m)보다 유량조절이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수문 두개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퇴적토사처리에 유리하며 유지관리 및 보수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하천설계기준을 만족토록 경간장 70.0m, 폭7.0m, 여유고2.0m, 설계하중 DB-24로 설계하였으며, 전망공간을 설치하여 평상시는 이용객들의 편의시설로, 유지관리시는 작업차량의 회차공간으로 활용토록 계획하였다.

소수력발전소는 고유량, 저낙차에 적합한 카플란 수차를 적용하였으며 어도는 다양한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고 경관이 우수한 자연형어도로 계획하여 신재생에너지, 생태환경공원 조성이라는 친환경요소를 지니고 있다.

 

 

 

 

금강7공구(금강보)

 

○컨셉

금강 7공구 금강보 컨셉은 공주시가 간직해온 역사문화를 토대로 백제의 잃어버린 명성을 되찾은 역사속 갱위강국의 꿈을 이룬 무령왕의 부활을 꿈구며 백제의 황제(무령왕)를 상징하는 봉황을 디자인 모티브로 차용하였으며, 백제의 황제, 봉황이 지키는 비단수라는 상징적 역할성을 부여하고 백제르네상스를 향해 펼쳐진 봉황의 큰 날개짓이라는 의미의 “금빛나래보”라는 이름을 명명하였다. 다기능보의 예술적 형상을 위하여 권양기실에 봉황의 머리 및 여의주형상을 적용하고 봉황의 힘찬 날개짓을 정형화된 디자인 선으로 도출하였으며, 공도교 조형물 및 낙하분수를 이용하여 봉황의 날개와 꼬리형상을 적용하였다.

 

○제원

보의 연장은 260m(가동보 221.5m, 고정보 38.5m)이며, 가동보는 수위조절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주수문(Lift Gate)과 조절수문(고정보+전도식 Gate) 형식으로 조합하였다.

기본계획에 제시된 Roller Gate 형식(가동보 80m, 고정보 320m)과 비교했을 때, 수문통수단면적을 25%증대시켜 치수안정성을 향상시켰고, underflow 및 overflow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또한, 주수문을 등간격 분산배치하여 배사 및 저층수 배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주요시설

보 설치에 따라 단절된 어류 이동을 위해 풍부한 방류량이 유지되는소수력발전소 인근에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설치하여 큰 어종등이 용이하게 소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또한 자연하도식 어도는 치어등 작은 어종이 이용 가능하도록 좌안측 고수부지에 설치하고, 유입부에 유인시설계획으로 어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였다.공도교는 금강보 및 소수력발전소의 원활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으로 교량의 길이는 하천폭 이상이어야 한다는 하천설계 기준에 따라 계획하폭 420m이상으로 교량의 규모을 계획하였으며, 수문의 보수 및 관리시 이용되는 Stop Log의 설치를 고려하여 중량물 인양을 위한 크레인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폭(B=11.5m)를 확보하였으며, 1등급 교량인 DB24를 설계하중으로 적용하여 도로교 및 유지관리교의 모든 기능을 충족시켰으며, 지방도와 공도교의 원활한 평면진출입과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청정에너지 생산을 위한 소수력발전소는 안정적 운영을 고려하여 우안에 설치하였으며 발전일수 344일, 연간 발전량 23,770MWh를 확보 가능하도록 하였다.

 

낙동강 18공구 함안보

 

○컨셉

함안보의 설계컨셉은 조망점을 고려한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스카이라인 계획 및 새로운 하천의 문화・역사를 창조하는 상징부로서 함안 '아라가야'와 창녕 '빛벌가야'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낙동강을 품은 큰고니의 날개를 모티브로 큰고니의 비상과 녹생성장의 날개를 형상화한 친환경 다기능보로 디자인되었다.

○제원

보의 연장은 567.5m(가동보 146m, 고정보 421.5m)이며, 가동보는 상단방류로 유량과 수위조절이 용이하고, 구조물 높이가 낮아 자연 경관성이 양호한 라이징섹터게이트를 선정하였다.

가동보 수문 규모는 기본계획시 제시된 롤러게이트(B15m×H9m×6문)에 비해 통수단면을 확대한 라이징섹터게이트(B40m×H9.58m×3문)을 설치하여 홍수소통, 배사, 수질오염방지 능력이 증대되도록 계획하였다.

○주요시설

공도교(아라빛교)는 「하천설계기준․해설(2005, 한국수자원학회)」에서 제시한 경간장을 만족하도록 72m로 계획하고, 상부 제원은 「도로교설계기준(2005, 한국도로교통협회)」 기준을 만족하도록 길이(645.5m)와 폭(11.1m) 및 설계하중(DB-24, DL-24)을 적용하였다. 양안 연결을 위해 우안은 면‧리간 계획도로 노선을 반영하고, 좌안은 기존 지방도 1022호선과 연결하였다.

특히, 공도교와 수문피어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 갤러리/전시아트리움을 도입하여 함안보 및 수자원시설의 홍보의 장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소수력 발전소는 「녹색성장의 꿈 ‘오름’으로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미래의 약속입니다.」라는 컨셉으로 10,200kW 규모의 청정에너지원을 설치하여 연간 71.8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생계 보전을 위해 자연형계단식어도(L=179m)와 아이스하버식어도(L=203m)를 설치하였고, 샛강 및 하중도 3개소 및 법정보호종 서식지를 비롯하여 4개 지구에 대해 보존지구로 설정하였다. 농경지로 활용되는 고수부지 정비를 통해 오염원을 제거하였고, 생태습지 설치로 수질개선 및 생태복원을 도모하여 친환경 하천정비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낙동강20공구(합천보)

 

○컨셉

낙동강 20공구 합천보 컨셉은 국내 최대 습지인 우포늪 생명물길 연결을 위한 생태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멸종위기에 있는 국내 유일 2마리의 따오기를 낙동강 살리기의 희망심볼로 도입하여, 푸른 날개를 달아 힘차게 날아오르는 따오기를 상징하는 새-오름보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제원

보의 연장은 322.5m(가동보 218m, 고정보 104.5m)이며 가동보는 주수문 Lift Gate와 보조수문인 복합형 가동보(고정보+전도Gate)로 구성되어 수문의 곡선라인을 통해 부드러운 경관 디자인을 구현하였고, 분산배치를 통해 배사 및 저층수 배출효과가 우수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기본계획에 제시된 Roller Gate 형식(저수로 구간 가동보 111m, 고정보 264m)과 비교했을 때, 수문 여유율 50% 추가확보를 통해 홍수량 배제 능력을 증대시켰고, Underflow와 Overflow 모두가 가능하며, 보조 수문의 조작을 통해 미세한 수위 조절까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창녕군과 합천군의 두 지역을 잇는 교량의 역할과 다기능보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시설로서의 역할을 모두 충족하도록 계획하였다. 총 연장 675m는 치수안전도를 감안하여 하천 계획하폭을 만족시켰으며, 폭원은 11.5m로 차량의 교행과 관광객의 보행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유지관리 중장비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였다. 설계하중은 DB24로 채택하여 도로교․유지관리교의 모든 기능을 충족시켰다.

청정에너지 생산을 위한 소수력발전소는 토사유입방지 및 퇴적을 고려하여 유심부인 우안에 설치하였으며 연간발전일수 297일, 연간 발전량 11,865MWh 확보하였다.

보 설치로 단절이 예상되는 수생태계의 이동통로 확보를 위해 풍부한 방류량이 유지되는 소수력발전소 인근에 볼랜드식 어도를 설치하여 과업구간내 대표어종인 뱀장어, 치어 등이 소상이 용이토록 하였다. 친환경적인 자연하도식 어도는 좌안측 고수부지에 설치하고, 유입부에 말뚝수제와 웅덩이를 조성을 통해 어류의 유인을 촉진하여 어도의 기능이 극대화 되도록 계획하였다.

 

 

낙동강 22공구 달성보

 

○컨셉

다기능보인 달성보는 안전을 상징하는 BLUE SAVER 컨셉으로 항해를 시작하는 크루즈를 형상화하여 새 시대에 대한 희망과 건강한 자연, 문화의 강을 열어가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였습니다.

 

○제원

다기능보의 연장은 579m(가동보 120m, 고정보 459m)로 설계하였고 가동보 형식은 Rising Sector Gate를 적용하였습니다. 가동보의 특성상 Overflow 및 Underflow가 가능하여 평상시와 소규모 홍수시 관리수위 유지가 가능하고 홍수시 완전 개도하여 치수적으로 안전하며, 홍수 말기에 저층수 배제로 퇴적토사의 배사처리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동보의 통수단면은 비상시 안전을 고려하여 기본계획시 제시된 가동보의 형식인 Roller Gate(가동보 90m, 고정보 480m)보다 통수단면의 여유율을 33.3% 더 확보하여 치수적 안정성을 확보 하였고 수질오염 방지을 위해 폭기시설과 고사분수를 도입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개선하였으며, TMS로 최적의 수질관리가 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하천설계기준 및 도로교설계기준을 기초로 최대홍수위가 반영된 교량 계획고, 70m이상의 최소 경간장을 만족하는 연장과 장래이용계획이 반영된 7.7m의 폭원 및 교량등급 1등급교의 설계하중인 DB-24, DL-24, 유지관리용 가설크레인 하중이 반영되었으며, 수질오염방지를 위해 비점오염 저감시설(초기우수처리)을 설치하였습니다.

공도교의 형식은 복합트러스 거더교로 주변환경과 조화로운 개방형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수력발전소는 2,800kW의 시설규모로 수차는 Kaplan Pit Type을 적용하였고 홍수시 상부 구조물이 월류되어 통수능을 최대한 확보하여 치수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였습니다.

어도는 Set Back 형태로 좌안측에는 자연형 어도, 우안측에는 인공형 어도를 설치하여 모든 어종의 소상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어류의 생태 연결로를 확보하였습니다.

 

 

   

낙동강 23공구 강정보

 

○컨셉

강정보는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 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낙동Hub 강정보’라는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되어 되었다.

○제원

보의 연장은 953.5m(고정보 833.5m, 가동보120m(기둥30m포함)) 이며 가동보는 Rising Sector Gate형식으로 원반부를 회전시켜 비체를 ․하 개폐함으로써 수위조절 및 배사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평상시 및 홍수시에 기본계획시 제시된 Rolling Gate형식(가동보 90m, 고정보 669m)보다 내풍에 대한 안정성과 경관적으로 주위환경과 잘 어우러지는 장점이있다.

특히 ․아래 양방향으로 작동 가능한 수문형식 적용으로 평상시 관리수위유지와 배사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탐방객들의 견학 및 향후 가동보의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1등교 기준인 DB-24를 적용하였다.

길이 810m, 폭 13.3m이며 하천의 양안을 자전거도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친수시설로 연결되는 1.1m폭의 보도를 별도로 계획하여 오감(五感)을 만족할 수 있는 관람동선을 계획하였다.

소수력발전은 3,000kW(=1,500kW*2)를 적용하였으며 어도는 아이스하버식어도(1/20)와 자연형어도(1/100)의 2개소를 계획하였다.

생태조사 등을 통하여 어류의 예상경로를 추정하여 어도의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모든 어종이 소상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친환경적인 계획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낙동강 24공구 칠곡보

 

○컨셉

지역의 역사문화를 반영한 칠곡보 경관연출

가산바위전설을 구현한 철우이야기로 역사테마형 스토리텔링 부여 및 낙동강 물길을 형상화 하였음

 

○제원

권양실, 보기둥 설계가동보는 주수문(Roller Gate) 40m×11.3m×3련, 보조수문(Flap Gate) 40m×2.3m×2련의 복합형으로 설계

구 분

사업내용

보 연 장

L = 400m

고 정 보

L = 168m(콘크리트 중력식, 소수력발전소 포함)

가동보

주수문

40m×11.3m×3련(Roller Gate)

총연장 L=232m

보조수문

40m×2.3m×2련(Flap Gate)

보기둥

32m

 

○주요시설

기본계획시 제시된 Roller Gate(가동보 147m, 고정보 283m)보다

주수문 분산배치 ⇒ 수리적 안정성 확보

주수문+보조수문 ⇒ 저빈도 홍수에 탄력적 대응

가동부 규모 증대 ⇒ 통수단면적 증대

공도교는 하설설계기준, 현황분석 및 VE/LCC/LCA를 고려하여 길이 451.5m, 폭 7.0m 및 설계하중 DB-24로 설계 / 형고가 낮아 미관이 우수하고 공도교 시종점부 종단운용이 유리한 공법 선정

소수력발전소는 사용수량 및 정격낙차에 적합하고 효율 우수 / 운영 및 유지관리 편리성 확보 / 설치공간 최소화

어도는 다기능보 상ㆍ하류 높이차와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자연형어도와 풀형어도의 복합형 어도계획 수립 / 여울 3개소 설치하여 소상어류의 휴식공간 제공

 

   

낙동강 30공구 구미보

 

○컨셉

낙동강살리기󰡑 그 중심에 설 낙동강 지킴이 구미보는 지역성을 반영하는 장수와 복의 상징인 거북이, 수호의 상징인 용을 형상화하는 고유의 디자인 계획으로 지속가능한 안전한 강, 언제나 넉넉한 물, 깨끗한 낙동강 수호라는 디자인 컨셉으로 설계하였습니다.

거북이 형상의 중앙 권양대에는 전망타워를 설치하여 360도 모든 방향으로 풍요롭고 아름다운 낙동강을 바라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람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하여 공도교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였습니다.

 

○제원

보의 연장은 640m로 가동보 103.5m, 고정보 536.5m이며, 가동보의 형식은 전도게이트(Overflow기능)와 쉘타입 롤러게이트(Underflow기능)로 계획하여 평상시 및 홍수시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권양장치 고장시 대처하기 위한 스톱로그 설비를 반영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주요시설

어도계획은 구미보건설로 인한 생태계 단절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를 통해 어종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다양한 어종이 소상할 수 있도록 계단식과 아이스 하버식을 병행한 복합형 어도로 계획하였습니다. 또한 생태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어도관찰대와 공도교에 어도 관찰데크를 설치하였습니다.

구미보의 유지관리 및 관광객들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공도교는 평상시 산책로와 자전거도로를 겸한 이용자 중심으로 계획하였으며, 권양기나 수문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공도교 폭원을 4.9~6.4m로 계획함으로서 필수폭원 확보와 동시에 전망공간으로의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친환경녹색성장 계획의 일환으로 구미보와 일체형인 소수력발전소(1,500kW×2기)를 계획하여 청정에너지원을 확보하였습니다.

 

 

 

낙동강 32공구 낙단보

 

○컨셉

낙단보는 상주,의성,구미시 세지역의 자연과 역사, 문화가 융합되고 사람이 어우러지는 전통적인 이미지가 반영된 고풍스러운 경관을 연출합니다. 컨셉으로는 이락지천으로 자연은 이롭게 사람들은 즐거운 생명이 유익한 생태환경 조성입니다.

 

○제원

보의 총연장은 286m(고정보:144.4m, 가동보: 141.6m)로 다기능보의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동보 운영최적화와 생태습지, 고정보 다단폭기 및 고정보 배면 배사시스템, 비상수처리 시스템을 조합한 단계 수처리 시스템 적용으로 보설치 이전보다 부영양화 발생가능일수를 감소시킨 ‘살아숨쉬는 보’를 구현하였습니다.

가동보는 홍수시 유수 소통을 최대화 하고 신속한 조작및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폭40m, 3열의 쉘타입 2단 롤러게이트를 계획하였습니다.

고정보는 도수에너지 감쇄부와 다단 폭기부로 구분한 계단형으로 다단폭기 시스템에 의한 용존산소 증가에 따른 수질개선, 계단부 wave형상에 의한 시각적 즐거움을 도입하여 계획하였습니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유지관리와 탐방객의 편의성”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연장 141.6m, 폭8.0m 및 설계하중DB-24 1등급으로 정하였으며 “사람과 함께하는 공간”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수력발전소는 수력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청정에너지를 개발토록 발전용량 3,000kw(1500kw×2)로 갈수기에도 발전이 용이하도록 계획 하였습니다.

어도는 자연형수로와 아이스하버식으로 복합형 어도 형식으로 종단적 연속성을 극대화하고 어류 상하류의 자유로운 이동을 최대한 고려하였습니다.

 

 

낙동강 33공구 상주보

 

○컨셉

다기능 보는 상주와 상주에 전래되어지는 오복동의 전설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앤드락이라는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 되어 상주보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제원

기본계획시 가동보는 거더타입 15m×10.0m×6련으로 기본설계시에는 쉘타입 45m×10.0m×2련으로 설계하여 하천설계기준 및 입찰안내서 기준에 적합하도록 하였습니다.

다기능 보의 연장은 335m(가동보 105m, 고정보 230m(전도식가동보 포함))입니다. 가동보는 쉘타입으로 설치하여 상류월류가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미관이 수려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기본계획시에는 없는 전도식가동보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홍수량 배제로 수위 저감효과와 더불어 관리수위 조절 용이, 저빈도 홍수에 탄력적 대응 및 어도 공급유량 조절이 편리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요시설

관리교는 하설설계기준, 현황분석 및 VE/LCC/LCA를 고려하여 길이 540m, 폭은 5.0m(고정보 구간)~11.0m(가동보 구간)으로 설계하중은 DB-24로 설계 하였으며, 전망대 설치로 이용객의 휴식공간 설치와 고정보 구간의 Steel Box 변단면 처리 및 다양한 칼라의 도장 적용으로 주변과의 조화가 우수하도록 하였습니다.

소수력발전소는 사용수량 및 정격낙차에 적합하고 효율 우수한 카플란 수차를 선정하여 운영 및 유지관리 편리성 확보하였으며 사수역 활용으로 하천잠식폭 최소화 하였습니다.

어도는 다기능보 상ㆍ하류의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1/100 경사의 자연형 수로식 어도를 설치(L=700m)하였으며, 여울 및 하중도를 설치하여 소상어류의 휴식공간 제공하도록 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장점과 더불어 환경친화적 자재를 선정하여 폐원목 포장 등 관리동과 조경설계시 등에 적용 하였으며, 소수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이라는 저탄소 녹색설계라는 친환경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영산강 2공구 죽산보

 

○컨셉

죽산보의 디자인은 이천년 흘러온 남도에 숨결, 새롭게 태어나는 영산강의 힘차게 굽이치는 기상이 느껴지는 남도에 흐르는 영산가’로 컨셉 설정하여 영산강을 닮은 굽이 치는 형상계획으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하고 새로운 상징으로의 랜드마크성을 연출하였다.

 

○제원

가동보의 연장은 184m로 기본계획160m보다 24m 확장되는 계획으로 홍수시 신속한 내수배제가 가능토록 하여 수리조건을 향상시켰다. 수문형식은 장경간 수문에 적합하며 안전성과 미관성이 우수하고 특히 유지관리가 용이한 Shell Type Roller Gate를 선정하였다.

현재운항중인 황포돛배 뱃길연결과 나주시에서 건립중인 고대나주선 통항을 고려한 열린나루(통선문) 설치로 관광객이 모일 수 있는 지역관광자원으로의 가치를 창출 하였으며 갑실내에 방충재 설치로 선박충돌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고정보는 과리수위와(EL.3.5m)와 동일한 고수부지고 현황을 고려 친환경적인 불투수코아 심벽형 고정보와 강널말뚝 사용으로 영구적인 차수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기존제방의 종단숭상 최소화위해 형고가 낮은 상부 돌출형 Edge 거더교를 적용하였 으며 전구간(L=622m) 차도교(DB-24)로 계획으로 유지관리시 장비진입이 원활하도록 하였고 특히 폭원 4.6m, 경간장 55m이상 계획으로 공도교 기준 및 하천설계기준을 준수 하였다.

수문 유지관리로 스톱로그와 갠트리크레인 그리고 운반로인 스톱로그교량 계획으로 신속한 유지보수 대책을 마련하였다. 수문조작실 유지관리로 유지관리교 5개소 설치하여 운영동선이 단절되지 않도록 연속성을 확보 하였으며 전망공간 계획으로 이벤트시 영산강의 풍경이 조망되도록 하였다. 보와 연계한 다양한 접근로 연출, 주변 수변공원과의 원활한 동선연결로 관광객이 모일 수 있는 여건제공으로 지역관광자원으로의 가치 창출이 되도록 하였다.

 

 

영산강 6공구 승촌보

 

○컨셉

승촌보는 영산재탄생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생명의 씨알이라는 컨셉를 가지고 디자인 되어 다기능보(승촌보)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제원

보의 연장은 540m(가동보 180m , 고정보 360m) 이며 가동보는 트러스 타입 리프트 게이트 형식으로 ①3방 지수형으로 over Flow가 가능 ②통형문비 제작가능 ③아치형태의 강결트러스 구조로 비틀림에 강하여 긴 경간에 유리 ④수면위에 인상되므로 점검이 용이 ⑤under Flow에 의한 Flushing으로 하부의 배사기능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평상시 및 홍수시에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복합형보 형식(가동보 182.5m , 고정보 329.5m)이며 가동보의 수문형식은 Radial gate , Roller gate이며 기본설계에서 적용한 트러스 타입 리프트 게이트는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수문보다 경관연출 및 장기간(50m)에 대한 구조안정성 확보(처짐 최소화), 개방형 구조로써 유지관리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본계획시 제시된 위치(No.139+010)를 검토하여 시공성(직접기초 시공에 의한 공기단축) 및 지반조건이 양호한 위치(No.139+400)로 변경하여 계획하였다.

 

○주요시설

공도교는 주변 계획과 연계하여(평상시 영산강 횡단용 차량 통행, 구하도 개발지역 이용객 보행동선, 승촌보 유지관리용도로) 공도교 길이와 폭 및 설계하중 DB24로 결정하였으며 가동보 단면의 원형 개구부를 통과하는 공도교 계획으로 차량 주행시 안정감 및 특이한 주행경관 연출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수력발전은 부력 및 기계진동에 안전한 단면계획 및 공도교와 연결을 통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도는 풀형 아이스하버식 어도(신기술 제111호)로 승촌보에서 상류방향으로 계획(set Back식)하여 국내 최초 첨단기법을 적용하였음.

 

 

<자료/국토해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