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볼거리·할거리

설명절 기간 1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정차 허용

말글 2014. 1. 22. 18:48

설명절 기간 1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정차 허용 
 - 1.22(수)~2.2(일), 시장찾는 이용객 편의위해 최대 2시간까지 가능
 - 상시허용시장 33개→36개 확대, 방산‧광장시장 86개는 한시적 허용

 

2014. 1. 22(수)

 

설을 앞두고 서울시내 전통시장 주변도로에 최대 2시간 까지 주‧정차가 허용된다.

 

서울시는 설을 맞아 전통시장을 찾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22일(수)부터 다음달 2일(일)까지 1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에 주정차를 허용한다고 밝혔다.

 

대상시장은 신중부시장(중구), 통인시장(종로구), 구의시장(광진구), 마장축산물시장(성동구) 등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상시적으로 평일에 연중 주정차를 허용하는 전통시장을 기존 33곳에서 모래내시장(서대문구), 공항시장(강서구), 방신재래시장(강서구)을 추가, 총 36개소로 확대하고, 그 외 86개 전통시장은 설명절 기간 한시적으로 주·정차를 허용한다.

 

허용대상 시장은 각 자치구 전통시장 담당부서와 관할 경찰서, 서울지방경찰청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주차지역에 표지판‧입간판 등 설치, 주정차요원 배치해 원활한 소통도와 >
서울시는 이 기간 동안 시장을 찾는 시민들이 주정차 허용구간을 쉽게 알아보도록 ‘교통안전표지판’, ‘플랜카드’, ‘입간판’등을 설치하고, 주정차관리원을 배치해 2열주차, 장기간 주차 등을 막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전통시장주변 주차공간 부족으로 이용을 꺼리는 소비자들이 편하게 시장을 찾고, 이와 동시에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전통시장 주정차 허용 후 고객수 15.6%, 매출액 15.7% 증가>
실제로 중소기업청(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실시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정차허용 시행효과 분석’에 의하면 매일 주정차가 허용된 전통시장의 이용객수는 15.6%, 매출액은 15.7%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전통시장이용 고객의 편의를 위해 현재 총 15개시장에 503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차장 조성이 곤란한 ▴중랑구 동원골목시장 ▴관악구 신원시장 ▴영등포전통시장 ▴서대문구 인왕시장 등 12개 시장의 공영주차장을 시장상인회가 위탁관리토록 해 상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앞으로도 서울시는 매년 160여억원을 확보하여 전통시장 쇼핑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주변도로 주정차 허용 확대, 주변 공영주차장 이용 유도(주차료 감면, 상인회 위탁 등) 등을 함께 추진할 것이다.

 

배현숙 서울시 소상공인지원과장은 “싸고 품질 좋은 상품이 많은 전통시장의 쇼핑환경을 개선해 많은 시민들이 방문하는 곳으로 만들겠다”며 “시민들이 찾아가기 쉽고, 장보기 쉬운 전통시장에서 올해 설맞이 준비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추석 주정차 허용 전통시장 및 상점가 현황

(null)

 

(null)

구 분

기 간

전통시장 및 상점가

매일허용

(36개시장)

1

(13개시장)

‘12.1.16() 부터

중부시장, 신중부시장(중구), 능동로골목시장, 노룬산골목시장, 구의시장(광진구), 동원골목시장(중랑구), 봉천현대시장(관악구), 암사종합시장(강동구), 석관황금시장(성북구), 연서시장, 대조시장(은평구), 영일시장, 조광시장(영등포구)

2

(19개시장)

‘12.9.24() 부터

통인시장, 낙원상가(종로구), 영동교골목시장(광진구), 답십리현대시장(동대문구), 동부골목시장(중랑구), 강북종합골목시장, 수유중앙골목시장(강북구), 공릉동도깨비시장(노원구), 마장축산물시장(성동구), 망원동월드컵시장(마포구), 인헌원당종합시장(관악구), 새마을전통시장(송파구), 명일골목시장(강동구), 대림시장, 증산시장, 신응암시장(은평구), 서울중앙시장(중구), 사당시장(동작구), 용문시장(용산구)

3

(1개시장)

‘13.9.9()

부터

둔촌역재래시장(강동구)

4

(3개시장)

‘14.1.22()

모래내시장(서대문구), 공항시장, 방신재래시장(강서구)

한시적 허용(86개 시장)

‘14.1.22()~2.2() [12일간]

방산종합시장, 중부심야시장, 숭례문상가, 삼익패션타운, 자유상가, 남대문로지하상가, 소공지하상가, 회현지하상가, 명동역지하쇼핑센터, 명동지하상가, 남대문심야시장(중구), 영천시장, 인왕시장, 유진상가, 포방터시장, 백련시장(서대문구), 한일상가, 종로신진시장, 광장골목시장, 종로5가지하상가, 한일지하상가, 동대문심야시장, 동대문종합상가A, 동대문종합상가B, 동대문종합상가C, 동문시장, 종로4가지하상가, 동대문종합상가, 광장시장(종로구), 전곡시장, 이경시장, 이문제일시장, 제기동깡동시장, 답십리시장, 경동시장(동대문구), 마포시장, 공덕시장(마포구), 대신시장, 사러가시장, 신영사러가시장, 신동시장(영등포구), 금남시장(성동구), 노량진수산시장, 성대시장, 영도시장, 강남시장, 본동인정시장, 남성시장(동작구), 노룬산시장, 신성시장, 자양골목시장, 중곡제일시장, 광성시장, 중곡제일골목시장(광진구), 우이시장, 대지시장, 북부시장(강북구), 현대시장, 남문시장(금천구), 동원시장, 면목골목시장(중랑구), 중부시장, 봉천중앙시장(관악구), 남부화곡시장, 남부골목시장, 화곡중앙시장, 화곡중앙골목시장, 까치산시장, 송화골목시장, 화곡본동시장(강서구), 길동골목시장, 성내골목시장, 로데오거리상점가, 천호시장(강동구), 남구로시장, 오류시장, 개봉중앙시장, 고척근린시장, 고척프라자(구로구), 3동시장, 신곡시장, 신정제일시장(양천구), 마천중앙시장(송파구), 방학동도깨비시장, 창동신창시장, 창동골목시장(도봉구)

 

 

<정리 - '바른선거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