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피해증상 및 예방법
익산 양계농가에서 의사조류독감이 발생해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전북도 방역방국은 이번에 발생한 의사조류독감이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고병원성’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발생지역에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와 인플루엔자백신을 공급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피해 현황:
조류독감은 약 100년 전부터 지구상에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1930년대 이후 발생하지 않다가 83년 벨기에와 프랑스 등 유럽에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97년엔 홍콩에서 사람에게 처음 감염돼 6명이 숨진 뒤 중동과 유럽 등 세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WHO 집계에 따르면 2003년 12월 이후 20일까지 베트남과 태국·캄보디아·인도네시아 등에서 118명이 감염돼 61명이 숨졌다.
우리나라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지금까지 사람이 걸린 적은 없지만 96년에 이어 2003년 12월 전국적으로 조류독감이 발생했다.
◆ 조류독감이란:
조류독감은 원래 닭이나 오리·꿩·칠면조 등 가금류(집에서 기르는 조류 가축)와 야생조류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걸리는 급성 전염병이다.
감염된 조류의 배설물과 침 등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전파 속도가 아주 빠르고 방역도 쉽지 않다.
문제는 쥐가 옮기는 페스트처럼 사람에게도 전염된다는 점이다.
감염된 가금류를 직접 만지거나 그 배설물 등을 통해 전염된다.
아직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사람이 사람에게 옮길 가능성도 있다.
◆증상:
사람이 조류독감에 감염되면 일반 독감처럼 섭씨 38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기침이 나고 호흡이 곤란해진다.
또 온몸에 근육통이 생기며 심하면 폐렴으로 사망하며 치사율은 50% 이상이다.
조류의 경우 볏 등 머리 부위에 청색증이 나타나고 호흡기에 문제가 생기며 설사를 하다가 이틀 안에 모두 죽는다.
◆예방과 치료 방법은:
예방용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류와 접촉하거나 조류독감 발생 지역으로 여행한 뒤 독감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는 게 좋다.
이에 따라 바이러스는 섭씨 75도 이상에서 5분 이상 가열하면 죽기 때문에 닭이나 오리를 충분히 익혀 먹는다면 감염될 가능성은 없다.
또 일반 독감과 조류독감이 함께 걸릴 경우 변종 바이러스가 몸 속에서 만들어져 치료가 더 어려우므로 독감 예방 백신을 맞는 것이 안전하다.
또 조류독감이 의심되면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먹거리·볼거리·할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안성 AI 신고..춘천.부산 'H5형' 확인(연합뉴스) (0) | 2008.05.08 |
---|---|
"비둘기 통해 번지나" AI공포 확산(한국경제) (0) | 2008.05.08 |
AI 증상과 예방법(YTN) (0) | 2008.05.07 |
조류독감이란... (0) | 2008.05.06 |
AI 전국 확산..방역 문제 없나(연합뉴스) (0) | 2008.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