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볼거리·할거리

송파구 AI 왜 확산됐나?(노컷뉴스)

말글 2008. 5. 14. 09:38

송파구 AI 왜 확산됐나?
불법 사육업자 '토지보상금' 욕심…구청도 발병장소 숨기기 급급

토지보상을 노린 업자들의 이기주의로 송파구의 닭, 오리 사육이 최근 20일 동안 두배 이상 늘었다.

구청은 SH 공사에 책임을 떠넘기기에 바빴고, 살처분에 항의하는 양봉업자들은 두 시간 가까이 지연시켰다. 송파, 장지의 AI 즉 조류인플루엔자 사태는 이런 원인들의 총체적인 결과였다.

▲ 송파 가금류 사육 최근 20일새 두배 이상 급증

[BestNocut_L]AI 피해지역이 송파구 문정·장지지구로까지 확산되는 과정에는 토지보상금을 노린 가금류의 불법사육과 송파구청의 소극적인 대응이 얽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송파구청은 AI 즉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에서 처음 발병된 이후 서울시의 지시로 지난 4월 17일 가금류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이 때 파악된 불법 사육 가금류가 3,000여 마리 수준이었지만 불과 20일 뒤인 지난 6일 실시한 조사에서는 8,200여 마리로 2.5배로 껑충 뛰었다.

이처럼 불법 사육 가금류가 크게 는 것은 서울시 SH공사가 토지보상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돌았기 때문이다.

결국 AI가 송파구쪽으로 확대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처럼 토지보상을 노린 가금류 불법 사육업자들의 이기주의가 한 구석에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송파, 문정지구 조류독감 살처분]


▲ 관계당국 안이함도 한 몫

토지보상을 노린 불법 가금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데도 송파구청은 이에 대한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았다.

허영 송파구 부구청장은 "사업개발 계획이 승인이 된 지역은 보상대상물권이 된다"며 "이런 경우 우리가 강제적으로 이전시키거나 퇴거처분을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허 부구청장은 이어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사육농가에 대한 통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도 "이번에 발병한 AI는 성남 모란시장에서 전염된 것이지 우리 관내에서 발병한 것은 아니다"라고 책임을 떠넘겼다.

하지만 허 부구청장은 'AI가 송파구에서 먼저 발병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근거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못하는 등 책임회피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였다.

▲ 11일 밤 살처분 2시간 지연된 이유는?

AI발병 뒤의 살처분 과정에서도 구청측의 대응이 소극적이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송파구청은 지난 11일 이 지역에서 사육된 오리에서 AI 양성 반응이 나오자 곧바로 살처분 작업을 실시하려 했지만 양봉업을 하는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2시간쯤 살처분 작업이 지연됐다.

즉각적으로 이뤄져야 할 살처분 작업이 지역 주민의 반대로 속수무책이었던 것이다.

방역 작업 현장에 투입됐던 한 송파구청 직원은 "방역을 하면 벌이 죽는다며 주민들이 방역 작업을 방해하는 등 마찰이 있었다"면서 "때문에 살처분 작업이 곧바로 시작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구청, 발병장소 숨기기 급급

특히 구청은 보상이라는 민감한 문제와 결부돼 있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AI가 발병한 정확한 장소를 공개하지 않는 등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실제 송파구청은 AI 사태가 발생하자 정확한 발병 장소에 대해 철저히 함구한 채 접근도 통제했다.

이에 취재진들은 정확한 위치만이라도 알려달라고 하자 '땅값이 떨어진다는 주민들의 항의가 심해 알려줄 수 없다'는 어처구니 없는 대답만 되풀이 했다.

결국, AI가 발병하고 나서야 서울시는 불법 사육실태 파악에 소홀한 송파구청을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이 터진 뒤에 행해지는 감사에 대해서 '뒷북행정'이라는 비난은 이번에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loh@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16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승인일시 : 2008-05-13 오전 10: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