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과학☆건강

"전국 영어마을 지난해 212억 적자"(연합뉴스)

말글 2008. 9. 5. 10:08

"전국 영어마을 지난해 212억 적자"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19개 영어마을이 지난해 기준으로 모두 적자를 기록, 적자 규모가 212억4천5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무총리실은 5일 이러한 내용의 `지방자치단체 영어마을 조성 및 운영실태' 평가결과를 내놓았다.

   총리실은 "영어마을은 초기 조성비용이 많이 들고 인건비 등 교육원가에 비해 수강료는 낮은 수준"이라며 "현재의 재정구조 하에서 대규모 영어마을이 계속 건설될 경우 적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총리실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영어마을의 재정자립도는 평균 38%에 불과하지만 지방자치단체들은 2011년까지 2천80억원의 비용을 들어 영어마을 23개를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어서 적자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리실은 또 영어마을 조성시 중복.과잉투자와 지역별 불균형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총리실은 "일부 지자체는 교육수요, 적정규모 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없이 영어마을을 조성했고, 교육과학기술부와 일선 교육청이 영어마을과 유사한 성격의 학교 내 영어체험학습센터 설치를 추진하고 있어 일부 지역은 중복투자의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총리실은 이어 "영어마을이 단기 교육프로그램 위주로 구성돼 지속적인 어학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재정자립도가 높은 수도권 지자체 위주로 영어마을이 조성돼 농어촌 및 중소도시와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총리실은 이에 따라 교과부 주관으로 지역별 영어체험교육시설 수급상황을 분석해 중복투자가 우려되는 지자체에 대해선 영어마을 조성계획을 자율적으로 수정토록 권고하고, 영어마을이 없는 농어촌 지역에는 교과부와 교육청 주도로 영어체험학습센터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영어마을 재정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합동으로 연구, 검토키로 했으며, ▲영어마을-공교육 연계운영 방안 마련 ▲우수 영어교육 프로그램 발굴 ▲원어민 강사 데이터베이스화 ▲외국어관련 교육특구 지정시 정부심사 강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jamin74@yna.co.kr
(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008-09-05 07:5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