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6.2지방선거 '천안함 변수'에 판세 요동(연합)

말글 2010. 4. 18. 09:29

여야 `北개입론' 자제속 사고조사 예의주시
`北風' 안보이슈 급부상 조짐, 선거에 파장


(서울=연합뉴스) 김화영 기자 = 6.2 지방선거를 40여일 앞두고 천안함 침몰사고가 선거정국을 지배하는 초대형 이슈로 굳어가고 있다.
천안함 사망자의 확인으로 선거 분위기가 전국적 애도물결 속에 묻힌데다 민.군합동조사단이 사고 원인을 `외부충격'으로 잠정 결론지으면서 국민의 이목은 충격의 주체 규명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북한개입설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국가안보 문제가 지방선거의 초대형 이슈로 부각되면서 정치권이 일거에 '북풍'(北風) 속으로 빨려들어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일단 여야 정치권은 천안함 실종자 수색이 완료되고 희생자 영결식이 끝날 때까지는 조문 무드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 정병국 사무총장은 1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방선거 일정은 진행하되 차분하고 엄숙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고,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도 "실종자 수색과 희생자 장례문제에서 여야가 따로 있을수 없다"고 말했다.

   선거전은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여야 지방선거 예비후보들은 조문정국 속에서 이벤트성 행사나 대외행보를 최대한 자제하면서 정책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국방부가 천안함 침몰을 `국가안보 차원의 중대한 사태'로 규정했지만 여야 지도부는 섣불리 북한을 겨냥하지 않는 신중한 자세다.

   한나라당은 북한의 개입을 확증하는 증거물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북풍을 유도하려 했다'는 역풍을 우려해 예단을 피하고 있고, 민주당은 북한개입론이 여당에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천안함 정국의 향배는 결국 합동조사단의 조사 내용에 달려있다는 지적이며, 지방선거의 결과도 이 여파에 미칠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 관측이다.

   특히 북한의 개입을 뒷받침할만한 증거물이 제시될 경우, 정치권은 `안보정국'으로 급속히 재편되면서 여야 공히 지방선거 대책을 재정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는 지난 16일 일본 방문중 "만약 북한의 공격에 의한 것이라면 우리 정부가 중대한 결정을 해야할지 모르겠다"며 "안보야말로 국가의 기본이자 기반인 만큼 정부와 국민이 힘을 합쳐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다른 당 관계자도 18일 "북한이 개입한 증거가 나온다면 여권은 당연히 엄중하고 단호한 조치를 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 경우, 백령도 근해에서 군의 초계함이 피격당할 정도로 정부의 안보와 위기대응체제가 허술했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면서 북풍의 차단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북한의 개입이 드러난다면 국가안보태세에 구멍이 뚫렸다는 반증이고 이는 정권 차원에서 중대한 위기"라며 "그 점을 철저하게 짚고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전통적으로 선거의 판도를 좌우했던 북풍 공방이 재현된다면 세종시 수정, 한명숙 전 총리 무죄판결 등의 파급력은 극히 미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에서는 천안함 침몰이 북한 문제로 연결되면 보수층이 결집하고 개혁진영이 위축돼 한나라당에 유리한 흐름이 조성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지만 안보공백 노출, 한반도 정세불안 극대화, 외국인투자 위축 등으로 오히려 여권에 악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quintet@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0/04/18 07: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