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방차 진입불가 및 곤란 지역 전국 1,356개 중 644개
2018. 10. 18(목)
동대문구가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소방차 진입곤란 및 불가 지역이 38곳으로 꼴찌서 5위, 비상소화장치 설치 구간이 15개소(설치율 39.5%)로 꼴찌서 3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승용 국회부의장(바른미래당,여수을,4선,행정안전위원회)은 서울시 국정감사를 통해 서울시 내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거나 진입이 곤란한 지역이 전국 1,356개소 중 644개소에 달해, 비상소화장치 확대 등 화재예방을 위한 개선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 부의장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방자동차 진입 장애 현황’에 따르면, 서울시에는 진입곤란 지역이 410개소, 진입불가 지역이 234개소로 전국 1,356개소 중 644개소로 가장 많고, 그 구간의 길이는 188km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차 진입곤란 지역은 도로 폭 3m이상의 도로 중 이동이 불가능한 장애물로 인해 소방차 진입곤란 구간이 100m이상인 장소이거나 기타 상승주차(장애물)로 인해 상시 소방차 진입 및 활동에 장애를 초래하는 지역이다.
소방차 진입불가 지역의 경우에는 폭 2m이하 도로 또는 이동이 불가한 구간이 100m이상인 장소이다. 다만 서울시는 폭이 2.5m인 중형펌프차량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에 소방차 진입곤란 및 불가 지역에 대한 방안으로 소방호스 또는 호스 릴 등을 소방용수시설에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시설이나 장치인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소방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 진입곤란·불가 지역에 비상소화장치 평균설치율은 58.4%이다.
그러나 강서구의 경우, 진입곤란 및 불가 지역이 52개소(1만2,674m)로 서울시에서 가장 많지만 소방차를 대신할 비상소화장치가 14구간 26.9%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대문구의 경우, 소방차 진입곤란 및 불가 지역이 38개소(1만954km)로 서울시에서 꼴찌에서 6번째지만, 소방차를 대신할 비상소화장치 설치된 곳은 15구간(39.5%)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 부의장은 “화재가 발생하면 골든타임에 소방관들의 화재장소 접근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러나 서울시 내에 소방차 진입이 불가하거나 곤란한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기존에는 비상소화장치 설치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었으나, 지난해 ‘소방기본법’을 개정하여 시·도지사가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설치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며, “조속히 비상소화장치 확대 예산을 편성하여 화재 예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
'자유게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승용 국회부의장, ‘서울시 자치구별 재정 제도 등 편차 너무 크다’ (0) | 2018.10.19 |
---|---|
최도자 국회의원, ‘돌려받지 못한 건강보험료 최근 10년간 789억원’ (0) | 2018.10.19 |
동대문구, 어르신들께 공경 담은 ‘동별 경로잔치’ 개최 (0) | 2018.10.18 |
새마을문고동대문구지부, 제7회 동대문구 구민 독서경진대회 시상식 가져 (0) | 2018.10.17 |
서울약령시 2018 한방문화축제 26~27일 개최 (0) | 201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