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6 20:08 CBS정치부 정재훈 기자
![](http://file2.cbs.co.kr/newsroom/image/2009/08/16191904180_60100020.jpg)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64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정치개혁의 요체로 '생산적 정치'와 함께 '깨끗한 정치'를 꼽았다.
그러면서 자신과 친인척을 포함한 공직 사회의 부정과 함께 '토착 비리'에도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토착 비리'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권력형 비리'와 '토착 비리' 근절을 위한 방안을 더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토착 비리 근절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공직자와 업체, 언론의 비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이와 관련해 "소지역 단위의 부정부패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직자들이 고착화된 유착 관계로 토호화되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또 "토착 비리 척결은 이 대통령이 오래 전부터 가져온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특히, 검찰과 국세청 등 사정당국 역시 토착 비리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고 판단하고 있다.
이 대변인은 "큰 반향을 일으킬 사안 외에 지역의 일상적인 부조리에 대해 적극적인 수사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지역의 비리와 부정부패에 사정당국의 무관심도 한 원인이 되고 있다며 우회적으로 수사를 촉구한 것이다.
한 청와대 핵심 참모는 "사정당국이 지역기관장을 연고지 위주로 발령을 내고 있어 지역 세력과의 유착 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의 근절 의지와 청와대 측의 수사 독려로 검찰을 중심으로 토착 비리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가 예상된다.
청와대는 이미 기초지자체에 대한 내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토착비리 근절은 이 대통령이 내건 정치개혁의 또 다른 축인 '생산적 정치'를 위한 처방인 행정구역과 선거제도 개편과도 맥이 닿아 있어 주목된다.
지방 공직자와 기초의원, 그리고 지역 세력간의 비리가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경우 기초지자체 등 행정구역 통합과 선거 횟수 축소 등의 필요성에 대해 여론의 공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개혁 작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대변인은 "권력형 비리는 물론 토착 비리 근절에 대해서도 일련의 정책 의지를 갖고 있으며 철저하게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floyd@cbs.co.kr
'공직비리☆불법행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메시지 묵살하고 재택근무자는 당구치고(연합) (0) | 2009.09.11 |
---|---|
범람 최초 신고자들의 '억장 무너지는 증언'(한국) (0) | 2009.09.09 |
양천구, "두들기면 구청장이 해결한다!" (0) | 2009.08.13 |
'군수vs군의장' 뇌물 3000만 원의 진실공방(뉴시스) (0) | 2009.08.10 |
서울시, 매년 ‘가장 청렴한 공무원 3인’ 선발해 특진기회 (0) | 200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