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전문가들, 야권연대 방법 두고 '격론'(뉴시스)

말글 2010. 2. 24. 23:52

전문가들, 야권연대 방법 두고 '격론'(뉴시스)
    기사등록 일시 [2010-02-24 17:47:03]

【서울=뉴시스】황의영 기자 = 야권이 6·2 지방선거 연대 문제로 연일 시끄러운 가운데, 전문가들이 야권연대 방법을 두고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정치인, 교수 등 전문가들은 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주당 정동영 의원 주최로 '1:1 어떻게 만들 것인가' 공개토론회를 열고 야권연대 방안에 대해 격론을 펼쳤다.

조성대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는 "진보개혁세력의 정당통합은 아직 요원한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의한 연합운동이 필요하다"며 "한나라당과 1대 1 구도를 만들어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후보·정책을 반MB 대중의 힘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조 교수는 이어 "현재의 정치관계법상 정당이 아닌 임의 결사체로는 후보경선을 치를 수 없다"며 "선거법을 어기지 않고서 후보, 정책을 통합하기 위해선 경선 지지율에 따라 연립정부의 지분이 결정되는 전술 정당의 건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조 교수의 국민경선제안은 견제와 균형을 회복시키는 유용한 방안이자 출발점이다. 기존 경선제가 후보만의 경선이라면 조 교수의 제안은 후보와 더불어 정책경선을 함께 치르자는 것"이라며 조 교수의 제안에 힘을 실었다.

김 교수는 그러나 "이를 위해 민주당은 선거를 승리로 이끌어야 한다는 기득권을 버려야 한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쳤다.

반면 조 교수의 '국민경선제안'에 대해 민주당을 제외한 야당 정치인들은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이의엽 민주노동당 정책위 부의장은 "정당이 선거로 인해 수단화, 도구화 되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다"며 "야 5당의 역사가 몇 년이나 되느냐. 자기 정체성 자체도 모호하다"고 반대의사를 펼쳤다.

이 부의장은 이어 "선거를 앞두고 급조된 정당도 있는데 전술정당 창단 안이 나오게 되면 유권자들은 심각한 정치불신과 회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권 진보신당 부대표도 "요즘 유행하는 연합정치 담론에 대해 비판적"이라며 "국민경선 때 어떤 정책을 낼지, 누가 후보로 나갈지 의문"이라고 회의적인 입장을 띠었다.

유원일 창조한국당 의원은 "긍정적이지 않다. 국민들은 선거 승리만을 위한 일시적인 아이디어로 생각해 질책할 수 있다"며 "반MB 구호만으로는 안되고 국민들에게 정책과 가치를 중심으로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손혁재 한국 NGO학회 회장은 "국민의 인식을 깨뜨리지 않으면 안된다. 새로운 공약, 정책, 리더십으로 국민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각 정당들이 이념, 철학이 다르지만 그 차이를 인정하면서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apex@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