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정당★민족

여 `MB정부 실세용퇴론' 재부상..논란 예고(종합)

말글 2012. 1. 30. 05:04

여 `MB정부 실세용퇴론' 재부상..논란 예고(종합)

김세연
김세연 "`黨 국민적불신' 원인제공자 책임질 때"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한나라당 김세연 비상대책위원이 29일 "4월 총선이 목전에 다가온 지금 쯤에는 한나라당이 이토록 국민적 불신을 받을 수밖에 없게 만든 근본 원인을 제공한 분들은 그에 상응하는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줄 때"라고 말하고 있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인적쇄신 방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이 볼 때 여러 가지 요소가 있겠지만 이런 부분이 해결되지 않으면 한나라당이 거듭 태어나는 것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라면서 "(결단 요구가) 대통령 탈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내에서 그러한 책임 있는 인물들이 나올 때가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2012. 1. 29 srbaek@yna.co.kr

김세연 논란확산에 "특정인 겨냥한 것 아니다"

친이계 맞대응 자제...논란 격화시 분열 우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 4ㆍ11 총선 공천을 목전에 두고 한나라당 내에서 `MB정부 실세 용퇴론'이 다시 불거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이 비대위 출범 직후인 지난달 말 처음 제기해 큰 논란이 됐다가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수습 노력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용퇴론 이슈가 김세연 비대위원의 관련 발언으로 재부상하는 형국이다.

 

특히 용퇴론은 사실상 구주류 친이(친이명박)계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돼 향후 상황 전개에 따라서는 공천국면에서 친이ㆍ친박(친박근혜)간 계파갈등을 넘어 자칫 여권 분열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섣부른 관측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현역 지역구 25% 공천배제' 원칙에 따른 역대 최고의 물갈이 전망,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의 중도신당 `국민생각' 창당 준비 등으로 보수진영의 정치적 유동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라 여권 내부의 지형변화는 총선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비대위원은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사견임을 전제로 용퇴론에 대해 "일부 비대위원이 개인 의견을 개진한 연말연초 당시에는 내가 `당이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받을 수 있다'는 취지의 말을 했는데 총선이 목전에 다가온 지금쯤은 당이 국민적 불신을 받을 수밖에 없게 만든 근본원인을 제공한 분들은 그에 상응하는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줄 때"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누구를 의미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스스로 알아서 판단할 문제"라면서 "당의 화합 속 쇄신, 정치와 당의 국민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스스로 결단해야 하는 모양새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현 정부에서 `실세'로 불린 이재오 의원이나 안상수 홍준표 전 대표 등을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몽준 전 대표 역시 현 정부들어 대표를 지냈으나 이상돈 비대위원이 `쇄신대상의 범주'에서 제외한 바 있다.

한나라 쇄신파 모임
한나라 쇄신파 모임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한나라당 남경필 구상찬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남경필 구상찬 황영철 김세연 임해규. 2012. 1. 29 srbaek@yna.co.kr
당사자들은 일단 즉각적인 대응을 삼갔다. 발언의 진의 파악이 우선인데다 섣부른 대응이 정치적 논란만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재오 의원은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홍준표 전 대표 역시 직접적인 대응을 자제했다.

 

이 의원과 가까운 진수희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비대위원이 개인의견이라고 한 만큼 뭐라 성급하게 얘기하기가 어렵다"면서 "비대위 전체 의견인지, 또 앞으로 공심위가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등을 좀 더 지켜봐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만 말했다.

 

친박 진영도 대체로 "박 비대위원장의 의중이 아닌 것으로 안다"며 진화에 나섰다.

 

김 비대위원 역시 "일반적인 언급으로, 누구와 교감이 있은 것도 아니고 특정인을 겨냥한 것도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친이 일각에선 김 비대위원이 친박 성향인데다 발언의 강도도 `작심' 수준에 가깝다며 박 비대위원장의 의중이 담긴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친이계 한 의원은 "공심위 출범을 앞두고 이런 얘기를 꺼내는 것은 다분히 의도적이다. MB정부와 연이 있는 사람을 무조건 배제하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고, 다른 친이계 의원은 "MB정부를 실패로 규정하고 선을 그으려고 하는데 사사건건 국정의 발목을 잡은 쪽에는 책임이 없느냐"고 지적했다.

 

sim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2/01/29 17:2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