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

李대통령 기자회견에 담긴 뜻(연합뉴스)

말글 2008. 4. 13. 22:44
2008년 04월 13일 (일) 12:01  연합뉴스

<李대통령 기자회견에 담긴 뜻>

정파떠나 민생.경제살리기 총매진 메시지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대통령 취임 후 가진 첫 기자회견에서 경제살리기와 민생 챙기기를 거듭 강조했다.

이를 위해 `변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제시했다. 위로부터의 변화를 위해 이 대통령 자신부터 앞장서 변화하고 그 변화가 사회지도층을 거쳐 하부 구조로 확산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솔선수범하는 개혁을 역설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4,9 총선'의 의미에 대해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말고 타협과 통합의 정치를 펴면서 경제살리기와 민생챙기기에 매진하라는 준엄한 명령"이라고 규정했다.

친이(親李).친박(親朴) 논란을 일축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저는 이 다음에 대통령에 출마할 사람도 아니고,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친이가 없다고 본다. 친박은 있을지 몰라도.."라며 "과거 친박이었든, 친이였든 간에 한나라당은 하나가 돼 국민이 기대하는 경제살리기를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친이.친박 무용론'을 내세우면서 특정 계파의 수장이라는 제한된 자리 대신 국정 운영의 중심에 서겠다는 의지를 다잡은 셈이다.

이는 역으로 박근혜 전 대표 진영에 대해서도 계보정치적 정파 다툼을 지양하고 국민적 대의인 경제살리기에 일로매진해 달라는 당부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이 최근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의 첫 회동에서 조기 전대론을 일축한 것도 이런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봐야 한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특히 공공부문의 개혁을 먼저 요구했다. "공직사회의 비리는 처벌규정을 강화해서 더 엄격하게 다루겠다"면서 "곳곳에 쌓인 먼지와 때를 씻어내어 사회 각 부분이 깨끗하고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만들겠다"고 힘줘 말했다. 향후 대대적인 개혁과 사정을 예고한 것으로 이해되는 대목이다.

이 대통령은 경제살리기와 민생을 위한 첫 행보로 5월 임시국회 소집을 제안했다. 경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선 법적인 뒷받침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과 출총제 폐지를 골자로 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 미성년자 피해방지처벌법(혜진.예슬법), 식품안전기본법, 군사시설 인근 개발법안, 낙후지역 개발촉진법, 특정 성폭력범죄자 전자팔찌 의무화법, 국립대학 국고회계 자율화법 등 30여 개 법안 처리가 시급한 현안이다.

국회는 총선 뒤 휴지기를 갖고 새 국회 개원에 대비하는 것이 통상적 관례였다. 이 대통령이 이 같은 관행의 타파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국민을 향한 새 정치의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른바 일하는 정부, 일하는 국회상의 정립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국민을 위해 정치.사회 지도층에 엄격한 도덕률이 적용돼야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면서 "우리 사회의 전면적인 변화를 위해 촌각을 늦출 수 없다는 것이 5월 임시 국회 소집 요청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도 "급변하는 세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남보다 앞서 변화해야 하고 그 변화는 위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면서 "대통령인 저부터 먼저 변화하겠다. 사회 지도층에서 시작된 변화가 물이 스며들듯 자연스럽게 아래로 확산돼야 진정한 개혁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5월 임시국회에서 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또 내수 진작을 위해 추가 세수의 용처를 국회에서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는 등 거듭 임시국회 소집을 요청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정부가 내수를 진작해도 무리가 가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가면서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고 경기부양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도 중점을 둘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북관계에 대해서도 앞선 정권과는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최근 북한의 대남 강경 기조를 놓고 "남북 관계가 지난 10년 간의 기존 틀이 새로이 정립되는 조정 기간을 거치고 있다"면서 "최근 있었던 북한의 도발적인 언동들에 대해 우리 정부는 그러한 관점에서 원칙을 갖고 의연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발적인 언동'이라고 정의한 것은 북한의 `위협'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북측에 핵 포기를 거듭 촉구하면서 "우리는 북한 주민의 생활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선(先) 핵포기 요구를 분명히 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은 계속 해나가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이 대통령이 또 "북한이 남쪽을 봉쇄하고 미국과 바로 통하겠다는 전략을 오래 전부터 가져왔으나 성공할 수 없고 그렇게 될 수도 없다"고 못박은 것은 남북한 당사자간 해결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대북관계에서 주도권을 갖고 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대통령은 미국, 일본 순방의 의미를 실용외교의 첫 걸음이라고 규정하고 전통적 우방들과의 관계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앞선 진보정권 10년 간 어그러졌던 한미, 한일 관계의 정상적 관계 복원에 주력한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이 대통령은 조만간 중국, 러시아를 방문키로 하는 등 연내 주변 4강에 대한 릴레이 외교를 펼칠 예정이다.

hjw@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