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서동일 교수, ’과실연’ 대운하 포럼서 주장
한반도 대운하를 처음부터 추진하는 것보다는 경인운하와 한강을 연결하고 대구-부산 간 낙동강운하를 시험 운영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국민 동의를 받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충남대 토목환경공학부 서동일 교수는 29일 오후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이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 ’한반도 대운하의 기술적 평가 포럼’ 주제발표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서 교수는 ’대운하와 하천의 수질관리’ 주제발표에서 우선 우리나라는 하천 수질관리를 위한 자료가 갖춰져 있지 않아 대운하 건설 시 발생할 수질문제를 예측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대운하 건설 시 예상되는 문제로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인과 질소를 처리하지 못하는 하수처리장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점과 갑문 설치로 물이 호수화돼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는 “많은 것이 명확하지 않고 우려되는 점도 많은 상황에서 다른 수계를 연결하는 대운하를 하자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라며 “단계적으로 해서 타당성이 있으면 동의를 받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단계적 추진 방안으로 서울시의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연계해 경인운하와 한강을 먼저 연결하고 물류운송의 경제적 타당성을 전제로 대구-부산 간 낙동강운하를 시범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영오 교수는 수자원 부문 주제발표에서 “대운하로 물 부족 해소와 홍수조절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것이 최선책인지는 알 수 없다”며 “대운하는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쳐 30-40년의 장기계획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뮬레이션 결과 물길 잇기로 충주댐 물을 낙동강으로 보내면 물 부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고 한강 홍수조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며 “하지만 물길 잇기가 그런 문제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아니므로 다양한 논의를 거쳐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외 운하 건설 사례를 보면 550㎞ 완공에는 30년이 걸린다. 4-5년 내에 만든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현 정부는 임기 내에 타당성 검토만 끝내도 다행이고 완공시점은 광복 75주년인 2020년에서 광복 100주년인 2045년 사이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하천정비에 대해 “하천정비는 원래 계획돼 있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지만 운하를 위한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 내용이 크게 달라진다”며 “운하를 전제로 수심 6m 정도로 하천을 파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토론자로 나선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윤제용 교수는 “대운하는 상수원에 배를 운항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큰 불신을 초래하는 것 같다”며 “배가 다니지 않게 하면 치수, 관광 등 많은 것을 할 수 있는데 왜 배에 얽매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최근 하천관리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운하에 대한 저항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면 더 문제”라며 “국민 70%가 반대하니까 운하는 안하겠다고 하고 국민을 위해 자연친화적 하천관리를 하겠다고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성균관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전경수 교수는 “운하가 수자원과 수질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르는 게 너무 많아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게 당연하다”며 “경인운하와 낙동강운하 시험운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자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국토관리는 국가 일인데 운하를 민자로 하겠다고 한 것은 경제성을 강조하려 했던 것 같다”며 “운하를 할 거라면 지금이라도 시행착오를 인정하고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충남대 토목환경공학부 서동일 교수는 29일 오후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이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 ’한반도 대운하의 기술적 평가 포럼’ 주제발표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서 교수는 ’대운하와 하천의 수질관리’ 주제발표에서 우선 우리나라는 하천 수질관리를 위한 자료가 갖춰져 있지 않아 대운하 건설 시 발생할 수질문제를 예측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대운하 건설 시 예상되는 문제로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인과 질소를 처리하지 못하는 하수처리장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점과 갑문 설치로 물이 호수화돼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는 “많은 것이 명확하지 않고 우려되는 점도 많은 상황에서 다른 수계를 연결하는 대운하를 하자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라며 “단계적으로 해서 타당성이 있으면 동의를 받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단계적 추진 방안으로 서울시의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연계해 경인운하와 한강을 먼저 연결하고 물류운송의 경제적 타당성을 전제로 대구-부산 간 낙동강운하를 시범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영오 교수는 수자원 부문 주제발표에서 “대운하로 물 부족 해소와 홍수조절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것이 최선책인지는 알 수 없다”며 “대운하는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쳐 30-40년의 장기계획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뮬레이션 결과 물길 잇기로 충주댐 물을 낙동강으로 보내면 물 부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고 한강 홍수조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며 “하지만 물길 잇기가 그런 문제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아니므로 다양한 논의를 거쳐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외 운하 건설 사례를 보면 550㎞ 완공에는 30년이 걸린다. 4-5년 내에 만든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현 정부는 임기 내에 타당성 검토만 끝내도 다행이고 완공시점은 광복 75주년인 2020년에서 광복 100주년인 2045년 사이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하천정비에 대해 “하천정비는 원래 계획돼 있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지만 운하를 위한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 내용이 크게 달라진다”며 “운하를 전제로 수심 6m 정도로 하천을 파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토론자로 나선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윤제용 교수는 “대운하는 상수원에 배를 운항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큰 불신을 초래하는 것 같다”며 “배가 다니지 않게 하면 치수, 관광 등 많은 것을 할 수 있는데 왜 배에 얽매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최근 하천관리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운하에 대한 저항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면 더 문제”라며 “국민 70%가 반대하니까 운하는 안하겠다고 하고 국민을 위해 자연친화적 하천관리를 하겠다고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성균관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전경수 교수는 “운하가 수자원과 수질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르는 게 너무 많아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게 당연하다”며 “경인운하와 낙동강운하 시험운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자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국토관리는 국가 일인데 운하를 민자로 하겠다고 한 것은 경제성을 강조하려 했던 것 같다”며 “운하를 할 거라면 지금이라도 시행착오를 인정하고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입력 : 2008.05.29 21:46
'교육☆환경☆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부길 靑비서"사탄의 무리, 판치지 않게 기도해달라"(뷰스앤뉴스) (0) | 2008.06.08 |
---|---|
'동아'도 MB 융단폭격, "대운하 포기하라" (뷰스앤뉴스) (0) | 2008.06.01 |
한 연구원의 양심선언 "대운하 억지논리 강요"(SBS) (0) | 2008.05.25 |
대운하 연구원, "4대강 정비는 운하계획"(YTN) (0) | 2008.05.24 |
[인터뷰] 양심선언한 '대운하 연구원' 김이태씨(오마이뉴스) (0) | 200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