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

[MB정부 3년 여론조사]가장 잘못한 국정 ‘경제’… 남은 임기 숙제는 ‘민생’(경향)

말글 2011. 2. 25. 09:27

[MB정부 3년 여론조사]가장 잘못한 국정 ‘경제’… 남은 임기 숙제는 ‘민생’(경향)

안홍욱 기자 ahn@kyunghyang.com

 

입력 : 2011-02-24 21:34:18수정 : 2011-02-24 22:54:14

 

ㆍ“3년간 일 못했다” 50.8% 부정적 많아
ㆍ성장·G20 긍정평가… 서민생활 악화로 감점

25일로 집권 3주년을 맞은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보다 많았다. 국민들이 이명박 정부를 평가하는 주된 잣대는 ‘경제’였다. 잘못한 국정운영 분야에서는 ‘경제’가 가장 앞줄에 꼽혔고, 남은 임기 동안 중점 추진해야 할 정책에서는 ‘서민경제 안정’이 1순위로 지목됐다.

경향신문이 여론조사 기관 디오피니언에 의뢰해 지난 2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다.

◇3년 국정운영 평가 = ‘이 대통령이 지난 3년 동안 일을 잘했다고 보느냐’고 질문한 결과 ‘잘못했다’는 부정 평가가 50.8%(매우 잘못 9.8%+잘못한 편 41.0%)로, ‘잘했다’는 긍정 평가 44.9%(매우 잘함 5.7%+잘한 편 39.2%)보다 5.9%포인트 많았다.

 



지역별로 호남(74.2%)과 충청(59.7%), 인천·경기(55.0%)에서 부정 평가가 많았고, 대구·경북(61.4%)과 부산·경남(55.4%)에선 긍정 평가가 우세해 지역별 편차가 컸다. 부정 평가는 20대(60.1%)·30대(64.8%) 등 젊은층, 화이트칼라(64.8%)·자영업(54.0%),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층(58.3%)에서 많았다. 반면 긍정 평가는 60세 이상(65.2%)·50대(53.0%) 등 중·장년층, 주부(52.5%)·블루칼라(52.0%)·농림어업(50.2%) 등에서 평균을 상회했다.

지난 3년 동안 이 대통령이 가장 잘못한 국정운영 분야로는 ‘경제’가 26.0%로 첫손에 꼽혔고, 남북관계(17.1%)와 인사정책(15.5%) 순이었다. 사회복지(9.9%), 정치개혁(7.4%), 교육(5.1%) 등이 뒤를 이었다. ‘경제’를 꼽은 응답자는 30대(37.2%), 강원·제주(50.0%)와 호남(30.7%)·서울(29.9%), 학생(32.3%)·화이트칼라(32.1%)에서 많았다.

가장 잘한 국정운영 분야로는 ‘없다’가 2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20.2%), 외교(19.2%)가 꼽혀 경제성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음을 나타냈다. ‘없다’는 대답은 30대(33.4%), 충청(37.4%), 화이트칼라(30.9%)에서 특히 많았다. ‘경제’는 50대(29.7%)와 대구·경북(30.8%)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디오피니언 백왕순 부소장은 “경제성장 정책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에서 보여준 가시적 결과에 대해 긍정 평가하면서도 물가난·전세난 등 서민경제 악화, 연평도 포격 등 남북관계 악화 등에 대해선 부정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향후 중점 추진 과제 = 이명박 정부가 남은 임기 동안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9%가 ‘서민경제 안정’을 꼽았다.

심각해지고 있는 물가와 전세난 등 민생 문제가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어 ‘경제성장’(14.3%), ‘교육개혁’(6.3%), ‘복지혜택 확대’(6.2%), ‘남북관계 개선’(6.0%), ‘노동환경 개선’(5.5%), ‘언론자유 확대’ (1.9%) 등의 순으로 지목됐다.

세대·지역·직업·학력을 가리지 않고 ‘서민경제 안정’ 의견이 압도적인 가운데, 지역적으로는 호남(67.3%)과 서울(60.6%), 인천·경기(60.6%) 등에서 평균을 훨씬 상회했다.

현 정부에 비판적인 호남과 함께 전세난 등의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에서 민생 안정에 대한 바람이 크다는 방증이다. 연령별로는 40대(60.2%), 직업군에서는 블루칼라(72.6%)에서 각각 ‘서민경제 안정’을 압도적으로 꼽았다. ‘경제성장’은 50대(19.9%)와 주부(19.8%)에서 평균을 웃돌았다. ‘복지혜택 확대’가 학생 집단(13.7%)과 20대(9.3%), 30대(10.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것도 눈에 띈다.

실업과 고액등록금 문제 등에 시달리고 있는 젊은층에 복지 욕구가 상당함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