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반포 재현과 어가행렬 ‘훈민정음 반포 재현과 어가 행렬’ - 10월 9일(화)은 561돌 한글날 - 2007.10. 6(토) 14:00 ~ 17:30 5월 6일 오후2시 경복궁 근정전에서 한글날 561돌을 기념하고 우리말글살이를 더욱 잘하자는 다짐을 모으고 담아내기 위하여 종로구청과 서울시가 주최하고 한글학회 외솔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날큰잔치.. 문화☆과학☆건강 2007.10.07
"한글은 과연 세종의 발명품인가" (조선일보) 연합뉴스 입력 : 2007.10.02 15:41 / 수정 : 2007.10.02 16:0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0/02/2007100200885.html "한글은 과연 세종의 발명품인가" ▲ MBC 최재혁 아나운서 /조선일보DB MBC 최재혁 아나운서는 한글에 미친 남자다. 프로그램 제작과 직접 관련이 없는 부서에 몸담고 있지만 해마다 한글날이면 꼬.. 문화☆과학☆건강 2007.10.03
인터넷 제비족을 조심합시다!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신종 잘나가는 직업이 있다는데 이름하여 "인터넷 제비족" 우리 모두 경계하여 제비족을 추방합시다 - 인터넷 제비족이란? ▷일명 이빨로 먹고사는 귀족 백수를 말함. - 인터넷 제비족의 서식지는? ▷주로 사이버 공간이며 채팅 사이트나 맛고가 주 활동무대. - 인터넷 제비족.. 문화☆과학☆건강 2007.09.18
돈만 먹는 ‘동사무소 명칭 변경’…예산만 100억(경향신문) 돈만 먹는 ‘동사무소 명칭 변경’…예산만 100억 동사무소 명칭을 ‘자치센터’로 바꾸는 것을 놓고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동사무소 명칭변경 추진 지침’을 통해 이달 말까지 전국 145개 시·구 2166개 동의 현판 교체작업을 마치도록 했다. 현판 교체 시한이 다가오면서 공.. 문화☆과학☆건강 2007.09.11
[스크랩] 해금, ‘나눔의 집’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내다. 해금, ‘나눔의 집’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내다. 아마추어해금협회,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개관 9주년 행사 참가 --> ▲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개관 9주년 행사 및 광복절 행사 모습 ⓒ 김영조 지난 8월 12일 경기도 퇴촌의 원당리에 자리한 ‘나눔의 집’에서는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개관 9주.. 문화☆과학☆건강 2007.08.14
아마추어해금협회를 사랑하시는 여러분! '아마추어 해금협회'를 사랑하시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작년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 할머니들께 다녀온지도 벌써 해가 바뀌었습니다. 그때 할머니들과 헤어지며 내년에도 꼭 오겠다고 약속을 한걸로 압니다..그래서 올해 8월 12일(일)에 두번째로 다녀오는 거구요.. 부디 우리 회원님들께서 많이 참.. 문화☆과학☆건강 2007.08.08
김애슬 선생과 제자들..ㅎㅎ 슬픈 인연 비가 내리는 날이면 빗줄기를 잡아 편지를 씁니다. 수많은 빗방울이 창문을 때리듯 무수한 눈빛만 보내진 아련한 가슴 속으로 빗물이 흠뻑 적신 편지를 보냅니다. 그리움으로 태우고 애련함으로 찢기고 기다림으로 얼룩진 가슴을 씻겨줄 편지를 빗줄기와 함께 쓰며 그대의 가슴을 빗방울로.. 문화☆과학☆건강 2007.08.05
훈민정음의 비밀, 한글은 ‘28자로 만든 문자혁명’ (대자보) 훈민정음의 비밀, 한글은 ‘28자로 만든 문자혁명’ [책동네]한글 창제원리 밝힌 김슬옹의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김영조 pine@miso.com 훈민정음이 어떤 글자인가? 한국인이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어쩌면 공기 속에서 살지만 공기의 고마움을 모.. 문화☆과학☆건강 2007.07.25
한글원리로 만든 중국어 자판, 중국 표준될까?(대자보) 한글원리로 만든 중국어 자판, 중국 표준될까? [학술] 영어 보다 빠른 안마태 신부의 <안음 3.0>, 중국 반응 뜨거워 김영조 지난 7월 3일부터 3일 동안 중국 연길에서는 “’07 다종언어 정보처리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한국 48명, 북한 16명, 중국 소수민족 대표 11명을 포함한 중국 50.. 문화☆과학☆건강 2007.07.18
본인확인제 조기 시행…악플러 꼼짝마라!!(YTN) [앵커멘트] 인터넷에 악성 댓글과 유해 정보를 전파시키는 사람들을 잡아내기 위한 본인확인제가 내일부터 시행됩니다. 먼저 네이버와 다음에서 시작해 다음달 말까지 모두 35개 인터넷 사이트로 확대되는데 기존 회원이라도 한번은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 문화☆과학☆건강 2007.06.27
5월 14일 10시 30분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 건의문 전달식이 있습니다.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 준비위원회 보도자료 누리집 http://www.hangeulnal.org/ 전자우편: idaero@hanmail.net (130-103)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 334-1. 011-9945-9190. 이대로 수 신 담당 기자님 발 신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 준비위원회 제 목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 건의문 전달식 1. 귀사의 큰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오는 5.. 문화☆과학☆건강 2007.05.13
한말글 이름의날 선포식 ‘밝은 누리’에서 ‘금난새’까지 ‘한말글 이름의 날 선포식’...5월 8일 법정기념일 추진 이철우 기자 ▲‘한말글 이름의 날 법정기념일 추진위’는 5월8일 한글회관 얼말글교육관에서 <한말글 이름의 날 선포식>과 ‘기념발표회’를 진행했다. © 이철우 기자 “우리 민족은 말은 있으되 글.. 문화☆과학☆건강 2007.05.10
비석만 남은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해야(대자보 기사) 비석만 남은 세종대왕 생가터 복원해야 [광화문에서] 5월 15일 경복궁옆 준수방에서 탄신, 생가터 흔적조차 없어 김영조 대한민국의 위인을 꼽으라면 무수히 많겠지만 그 가운데 세종임금은 우뚝 서 있다. 훈민정음 창제를 비롯하여 우리의 역사상 백성을 위해 가장 큰일을 해낸 분이기 때문이다. 서양.. 문화☆과학☆건강 2007.05.03
여성의 속옷, 무지기를 아시나요? 여성의 속옷, 무지기를 아시나요? 조선시대 여성들의 속옷에는 속적삼, 가리개용 허리띠, 다리속곳, 속속곳, 속바지(고쟁이), 단속곳, 대슘치마, 무지기, 너른바지 따위가 있었습니다. 새색시가 시집갈 때는 예의를 갖추기 위하여 여러 벌의 옷을 겹쳐 입었기에 조금이라도 시원하라고 친정어머니가 허.. 문화☆과학☆건강 2007.04.03
봄엔 꽃으로 만든 전통음식을.. 봄엔 꽃으로 만든 전통음식을.. 매화는 눈 속에서 청초한 자태와 향기로 봄을 맨 먼저 엽니다. 그리고 매화가 질 때쯤이면 진달래가 온 산을 불태웁니다. 바닷가에선 알싸한 향기를 흩날리는 노란 동백꽃이 우리를 맞습니다. 그런데 우리 겨레는 예부터 꽃을 향기와 자태로만 즐긴 것이 아니라 음식도 .. 문화☆과학☆건강 2007.04.01
쑥과 보릿고개 쑥과 보릿고개 봄이 오면 들판에 나물을 캐는 아낙들이 많습니다. 쑥은 뛰어난 약효로 인해 '의초(천연초)'라고도 하는데 2차 세계대전 당시 원자폭탄이 떨어졌던 히로시마의 잿더미 속에서 가장 먼저 자란 식물이 쑥일 정도이지요. 쑥은 메마른 땅에서도 비료나 농약 없이 스스로 자라는 완전 무공해 .. 문화☆과학☆건강 2007.03.30
밥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밥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임금이 밥을 드시면 '수라', 어른이 드시면 '진지', 보통 사람이 먹으면 '밥', 하인이 먹으면 '입시'이고, 죽은 사람에게 제사지내는 밥은'젯메'입니다. 밥도 수라가 되면 영광스럽고, 입시가 되면 천해질까요? 예전 농부들은 그릇 위까지 수북이 담은 '감투밥'을 먹었습니다. 감.. 문화☆과학☆건강 2007.03.28
영어로의 '창씨개명'도 매국행위다 영어로의 '창씨개명도' 매국행위다.. 요즘 기업들은 영어로 ‘창씨개명’하려고 난리입니다. 영어로의 ‘창씨개명’이 무슨 요술방망이요, 만병통치약으로 착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전자’는 ‘하이닉스’로 바꾼 뒤 부도가 났고, ‘선경’은 ‘SK'로 바꾸고 외국인들에게 경영권을 여러 번.. 문화☆과학☆건강 2007.03.24
정월대보름의 어원과 유래, 풍습.. 정월 대보름의 어원과 유래, 풍습 정월 대보름의 어원과 유래 정월(正月)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의 운세를 점쳐보는 달이다. 율력서(律曆書)에 의하면 "정월은 천지인(天地人)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 문화☆과학☆건강 2007.03.04
새해 아침 세배할 때는 새해 아침 세배할 때는.. 새해 아침 세배할 때는 손은 공손히 맞잡고, 손끝이 상대를 향하게 하지 않게 하며, 누워있는 어른에게는 절대 절하지 않습니다. 흔히 어른에게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 하는 것은 예법에 맞지 않습니다. "인사드리겠습니다." 라고 하는 것.. 문화☆과학☆건강 2007.02.16
섣달 그믐날 밤의 세시풍속 섣달 그믐날 밤의 세시풍속 섣달 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믿었는데, 아이들이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잠들면 아이들의 눈썹에 떡가루를 발라주어 놀려주었습니다. 이것은 설맞이 준비가 바쁘니 이 한밤은 잠자지 말고 일해야 한다는 데서 생긴 말로 보입니다. 그래서 섣달 그믐날은 .. 문화☆과학☆건강 2007.02.12